한국형 부모 작성형 유아모니터링체계(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K-ASQ)의 타당도 평가

목적: 우리나라에서 2007년 11월부터 시작된 국가 영유아 건강 검진사업에서 발달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선별검사도구로서 한국형 부모 작성형 유아모니터링 체계(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K-ASQ)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도구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기존에 실시된 K -ASQ 발달선별검사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해 K -ASQ도구의 임상적 변별력과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방법: 분석에 포함된 임상군 표본은 고려대학교 구로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 22; no. 1; pp. 1 - 11
Main Authors 정희정(Hee Jung Chung), 은백린(Baik-Lin Eun), 김현식(Hyun Sik Kim), 김진경(Jin Kyung Kim), 신손문(Son Moon Shin), 이지훈(Ji Hoon Lee), 최지은(Jieun Choi), 김영아(Young Ah Kim), 오경자(Kyung Ja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31.03.2014
대한소아신경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우리나라에서 2007년 11월부터 시작된 국가 영유아 건강 검진사업에서 발달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선별검사도구로서 한국형 부모 작성형 유아모니터링 체계(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K-ASQ)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도구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기존에 실시된 K -ASQ 발달선별검사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해 K -ASQ도구의 임상적 변별력과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방법: 분석에 포함된 임상군 표본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발달지연클리닉에 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하여 비정상으로 판정된 영유아 중 30개월군 57명(남: 42, 여: 15), 36개월군 84명(남: 65, 여: 19), 60개월군 77명(남: 60, 여: 17)으로 총 218명(남: 167, 여: 51)을 대상으로 하였다 . 비임상군 표본은 임상군과 성별분포를 비슷하게 맞추어 무작위로 추출되었으며, 30개월군 72명(남: 50, 여: 22), 36개월군 77명(남: 51, 여: 26), 60개월군 93명(남:65, 여: 28) 으로 총 242명(남:166,여:76)이 포함되었다. 선별 척도로서의 임상적 변별력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군과 비임상군 환아들의 K -ASQ자 료를 비교하여 민감도,특이도,및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진단명에 따른 임상적 변별력도 살펴보았다 .K-ASQ 하위영역척도에 대한 발달지체 집단과 정상집단의 변별력을 살펴보기 위해 수신자 동작 특성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 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K -ASQ가 발달선별 검사로서 측정하고자하는 구성개념을 실제로 잘 측정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준거척도들(한국형 베일리발달척도 II, 한국 웩슬러유아지능검사, 한국판 사회성숙도검사 등)과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통해공인타당도분석을실시하였다 . 결과: 30개월과 36개월군에서 K -ASQ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0.88 -0.96 이었으며, 정확도는 각각 0.92와 0.89로 전반적으로 좋은 변별력을 보였으나, 월령대와 진단군에 따라 달랐다 . 특히, 60개월군에서는 특이도는 0.95로 양호하였으나 민감도는 0.65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정상집단과 언어발달지연집단을 변별해주는 민감도가 특히 낮았다. ROC 분석 결과 K -ASQ가 발달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을 변별하는 변별력은 전반적으로 5개 영역 모두 ‘보통 ’수준이상의변별력(AUC: 0.74 -0.98)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변별력이 부족한 영역과 월령대가 있었다 . 공인타당도는 세 연령군 모두에서 준거척도와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긴 하였으나 대체적으로 높지 않았다. 특히 30개월군 K -ASQ검사의 대근육 운동영역은 한국형 베일리발달척도의 운동척도점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r=0.27,P>0.05). 결론: 선별검사로서 K -ASQ의 임상적 변별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관찰되었으나 월령별, 영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공인타당도 검사 결과도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긴 하였으나, 일부 월령군에서는 K -ASQ 가 실질적인 하부영역의 발달을 잘 반영하고 있지 못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발달을 잘 반영하는 새로운 선별검사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 Purpose: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ew developmental screening tool,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K-ASQ). Methods: The clinical sample included a total of 218 Infants and children at 30, 36, 60 month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g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s were selected from a national large-scale K-ASQ databas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calculated in different age and diagnosis groups,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as well. In addition, concurrent validity was analyzed for the clinical sample by comparing the K-ASQ with other reference scales. Result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K-ASQ were above fair (0.82.0.96) overall, however they varied depending on age and diagnosis groups. Specifically, the sensitivity at 60 months was relatively low (0.65). Especially, the discrimination sensitivity for the language delay group was poor at 60 months (0.42).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discrimination capacity was above fair in all 5 domains [area under the curve (AUC): 0.74.0.98]. However, there were some domains and age groups with relatively poor discrimination capacity. In terms of concurrent validit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ASQ domains and reference scale sub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but weak in some domains. Conclusion: The overall discrimination capac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K-ASQ were above fair, but there were some domains, age, and diagnosis groups in which the K-ASQ was not successful in identifying potentially developmentally challenged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tool,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infants & children.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SER000009590.2014.22.1.004
ISSN:1226-6884
DOI:10.26815/jkcns.2014.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