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품’벼 체세포변이체의 표현형과 후대변이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인 ‘일품’을 대상으로 현미배양 후대의 주요 농업형질에 대한 변이체의 발생양상과 범위 및 종류등을 조사하고 변이집단의 크기와 변이집단의 육종적 유용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품’ 완숙현미 유래 캘러스로부터 424개체의 식물체를 재분화하고 297개체로부터 종자를채종하여 계통 재배하면서 간장, 출수기 등 주요 농업형질과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주요 농업형질과 형태적 특성이모품종과 다른 변이체는 전체의 21.5%인 64계통이었으며조사한 형질 중 변이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던 형질은 출수기로 9.1%인 27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2; no. 4; pp. 413 - 418
Main Authors 박영희(Young-Hie Park), 김태헌(Tae-Heun Kim), 이현숙(Hyun-Suk Lee), 김경민(Kyung-Min Kim), 손재근(Jae-Keun So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육종학회 01.09.2010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0-3360
2287-51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인 ‘일품’을 대상으로 현미배양 후대의 주요 농업형질에 대한 변이체의 발생양상과 범위 및 종류등을 조사하고 변이집단의 크기와 변이집단의 육종적 유용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품’ 완숙현미 유래 캘러스로부터 424개체의 식물체를 재분화하고 297개체로부터 종자를채종하여 계통 재배하면서 간장, 출수기 등 주요 농업형질과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주요 농업형질과 형태적 특성이모품종과 다른 변이체는 전체의 21.5%인 64계통이었으며조사한 형질 중 변이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던 형질은 출수기로 9.1%인 27계통이었고 ‘opaque endosperm’이 1.7%,‘rolling leaf’가 1.3% 등이었다. S2세대의 분리는 출수기가 가장 많았으며 ‘dwarf/semi dwarf’와 ‘rolling leaf’ 및 ‘opaque endosperm’ 변이체는 S1세대에서는 계통 내 분리를 보였으나S2 세대 에서는 분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조직배양 후대에 발생하는 변이는 생성범위가 넓고 빈도 또한 높아 새로운 유전자원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total of 424 plants was regenerated from the seed-culture of a rice cultivar, ‘Ilpum’. The regenerated plants were grown in a greenhouse. The 297 plants with high fertility were selected among 424 plants. The harvested seeds from each plant were planted to each line at experiment field in 2008 and 2009. The each line was evaluated for the agronomic and morphological traits, also. The 64 lines (21.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ronomic and morphological traits from donor cultivar ‘Ilpum’ among 297 lines. The heading date different from donor cultivar ‘Ilpum’ showed highest frequency in 297 lines, and accounts for 9.1% (29 lines). The phenotype of opaque endosperm and rolling leaf account for 1.7% and 1.3% in 297 lines,respectively. The genetic segregation was observed in dwarf/semi-dwarf, rolling leaf and opaque endosperm at S1 generation, but not in S2 gen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tant derived from a tissue-culture will be one of the promising genetic resources, due to its wide variation and high frequency of mutation, comparatively.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329.2010.42.4.001
ISSN:0250-3360
2287-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