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및 소득수준의 세대간 이전

본 논문에서는 노동패널자료 1차-2차년도 자료에 조사된 부모세대의 가구자료와 7차-8차년도 자료에 조사된 분가한 자녀 가구의 자료를 횡으로 연결(merge)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부모의 교육수준이 부모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자녀에 대한 인적자본투자 및 자녀의 교육수준, 자녀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부모의 소득수준뿐만 아니라 자녀의 교육수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교육수준은 다시금 자녀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재정학연구 Vol. 1; no. 1; pp. 119 - 142
Main Author 안종범(Chong Bum An), 전승훈(Seung Hoon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8.02.2008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한국재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8362
2734-023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노동패널자료 1차-2차년도 자료에 조사된 부모세대의 가구자료와 7차-8차년도 자료에 조사된 분가한 자녀 가구의 자료를 횡으로 연결(merge)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부모의 교육수준이 부모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자녀에 대한 인적자본투자 및 자녀의 교육수준, 자녀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부모의 소득수준뿐만 아니라 자녀의 교육수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교육수준은 다시금 자녀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간 이전 구조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소득격차의 세대간 이전을 막기 위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construct the dataset merging the characte- ristics of parents' househol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ran- ched children's household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ncome levels of parents on those of branched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ighly educated parents earn more income than lowly educated parents do. (2)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ncome levels of the par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ducational levels of the branched children. (3) Highly educated children earn more income than lowly educated children do.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the educatio- nal achievement and income level. KCI Citation Count: 54
Bibliography:G704-002223.2008.1.1.003
ISSN:1976-8362
2734-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