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구조화 임상시험을 활용한 간호수행능력의 Six Dimension Scale과 간호학생 스트레스 평가지수의 도구 평가-천식 및 1형 당뇨 모듈을 중심으로

Purpose: The study purposes were to describe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Six-D)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SNSI)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wo measurements.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y study using a descriptive c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85 - 93
Main Authors 박경옥, 안영미, 강나래, 이미진, 손민, Park, Kyong-Ok, Ahn, Young-Mee, Kang, Na-Rae, Lee, Mi-Jin, Sohn,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아동간호학회 01.04.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9110
2287-9129
DOI10.4094/chnr.2013.19.2.8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The study purposes were to describe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Six-D)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SNSI)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wo measurements.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y study using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ith 51 nursing students in 4th year of universit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 alphas. Construct validity was determined by exploring correlations among Six-D, SNSI,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self-efficacy and grade point average (GPA).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Six-D and SNSI was acceptable with Cronbach's ${\alpha}$ of .95 and .82.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construct validity revealed that Six-D 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SCE (r=.109~.272) and self-efficacy (r=.005~.16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GPA (r=-.246~-.394), although al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NSI presented all negative correlations with OSCE (r= -.007~-.238), self-efficacy (r=-.246~-.394), and GPA (r=-.092~-.426) and were mos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OSCE. Conclusion: Six-D needs more evidence to confirm validity to predict observed clinical competency and theoretical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and GPA. However, SNSI presented trends of expected relationships with relevant variable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in testing validity of Six-D with other student population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Six-D Scale)와 간호학생 스트레스 평가지수 (SNSI)의 한국어 버전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 천식 및 1형 당뇨 모듈을 내용으로 한 시뮬레이션 기반 객관구조화시험(OSCE)을 이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단편적 서술연구이며, 4년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를 이용한 내적 일관성을 평가하였고, OSCE는 검사자간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타당도 평가는 Six-D Scale과 SNSI의 하부영역을 OSCE, 평점 및 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구성타당도로 확인하였다. 결과 두 도구의 Chronbach's ${\alpha}$는 .82-.95였고, OSCE의 검사자 간 신뢰도는 .75 (천식)-.87 (당뇨)이었다. Six-D Scale은 OSCE (r=.109-.272) 및 자아효능감과(r=.005-.161)는 양의 상관관계를, 평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r= -.246 ~ -.394)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SNSI는 OSCE (r= -.007 ~ -.238), 평점(r=-.092 ~ -.426) 및 자아효능감(r=-.246 ~ -.394) 모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SCE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간호수행능력의 Six-D Scale, SNSI 모두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간호학생스트레스 도구는 적절한 타당도를 나타내었으나, Six-D scale은 적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가 보고형 임상수행능력 평가는 좀 더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이 더욱 깊이 있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며, 간호학생의 스트레스는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간주되어 연구 및 교육에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25954524632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85
G704-001009.2013.19.2.008
ISSN:2287-9110
2287-9129
DOI:10.4094/chnr.2013.19.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