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기장군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collected seasonally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 total of 157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ada (Hanʼguk Haeyang Hakhoe) Vol. 16; no. 2; pp. 97 - 105
Main Authors 김대익, 서인수, 문창호, 최병미, 정래홍, 손민호, Kim, Dae-Ik, Seo, In-Soo, Moon, Chang-Ho, Choi, Byoung-Mi, Jung, Rae-Hong, Son, Min-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학회 01.05.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collected seasonally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 total of 157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macrobenthos density were $552 \;ind/m^2$. The species number of macr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62 in winter and spring to 122 in autumn. On the other hand, abundance fluctuated between 6,540 (in spring) and 17,920 (in autumn) inds./$18m^2$.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patio-temporal fluctuation in the macrobenthic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3 station groups. The group 1 (station 8~10, 12, 13, 17 and 18)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 Lumbrineris longifolia, the bivalve Ennucula tenuis and the Amphipoda spp., with mean phi range from $6.2{\Phi}$ to $7.1{\Phi}$ (above 50m water depth). The group 2 (station 5~7, 11, 14~16)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1ychaete Ampharete arctica and the bivalve Theorafragilis (mean phi: $6.0{\sim}7.0{\Phi}$; within 40 m water depth). Finally group 3 (station 1~4) was characterized by high density of the polychaetes Magelona japonica and Sternaspis scutata, with mean phi range from $3.5{\Phi}$ to $6.9{\Phi}$ (below 30 m water depth). In conclus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patial and tempor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depth and sediment composition.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7종/$18m^2$과 552개체/$m^2$ 이었다 출현 종수는 최소 62종/$1.8 m^2$(동계와 춘계)에서 최대 122종/$l.8 \;m^2$ (추계)의 범위를 보였다. 반면 개체수는 6,540~17,920개체/$18m^2$의 범위에 춘계에 가장 적었고, 추계에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1은 외해역에 위치한 수섬 50m 이상과 평균입도 $6.2{\sim}7.1{\Phi}$범위의 정점 8~ 10, 12, l3, 17 및 18이, 그룹 2는 수심 40 m 내외의 평균입도 $6.0{\sim}7.0{\Phi}$를 나타내는 정점 5~7, 11과 14~16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3은 수심 30 m 이하의 평균입도 $3.5{\sim}6.9{\Phi}$ 범위를 보이는 정점 1~4가 포함되었다. 각 그룹별 우점종을 보면, 그룹 I에서는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umbrineris longifolia), 북방호두조개(Ennucula tenuis) 및 미동정 옆새우류(Amphipoda spp.)가, 그룹 2에서는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 (Ampharete arctica)등이 특정적이었다. 그룹 3은 다모류의 양손갯지렁이 (Magelona japonica)와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의 밀도가 우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시공간적 분포패턴은 해역의 수심과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122262523164
G704-000255.2011.16.2.005
ISSN:1226-2978
2671-8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