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외국인학교는 다인종, 다문화적인 특성상 세계화 및 다문화적 요소가 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국제이해교육 실천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학교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교육부 사이트에 공개된 정보, 해당 외국인학교의 홈페이지에 나타난 교육과정과 교육이념의 분석, 기타 외국인학교 관련 조사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설문조사는 2...
Saved in:
Published in | 국제이해교육연구 Vol. 10; no. 1; pp. 1 - 2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30.06.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3665 2671-5538 |
Cover
Summary: | 외국인학교는 다인종, 다문화적인 특성상 세계화 및 다문화적 요소가 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국제이해교육 실천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학교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교육부 사이트에 공개된 정보, 해당 외국인학교의 홈페이지에 나타난 교육과정과 교육이념의 분석, 기타 외국인학교 관련 조사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현재 교육부에 등록된 52개 외국인학교 중 모국의 국가교육과정을 따르는 비영어권 외국인학교, 유치원만 운영하는 외국인학교를 제외한 28개 영어권 외국인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해 외국인학교 교장에게 발송되었으며 총 13부(회수율 46%)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학교의 규모가 커지면서 국제인증기관의 평가인증을 통과한 외국인학교 숫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의 질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교육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교육철학적인 측면에서 국제이해교육의 제 요소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인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사회과 관련과목이나 특별활동 혹은 방과 후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이해교육의 세부요소 중 문화간 이해 및 문화간 차이 존중에 치중되어 있는데 반해 국제이해교육의 다른 주요 요소인 사회정의, 평화 및 인권, 그리고 세계화 및 세계의 상호의존관계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간 이해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국관련 프로그램의 운영도 생활에 필요한 언어 습득이나 대학진학 목적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외국인학교의 실제적 존립 목적이 상당 부분 대학진학에 있지만 다문화적 교육환경의 장점을 살려 교육과정 및 교사의 구성 등에 있어 국제이해교육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융합시킨다면 국제적인 학교로서의 역량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외국인학교 교육과정에 국제이해교육의 핵심요소들이 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이해교육의 이념과 가장 밀접한 IB 교육과정의 확산,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화간 이해를 위한 교육을 위해 한국관련 프로그램은 한국어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문화간 상호작용을 체험하도록 하는 교과목 개발이 요구된다. Th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in foreign schools where students and teachers are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s regarding EIU in the foreign schools in Korea, their curricula and educational objectiv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ir school homepages, the on-line site of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the research reports on the foreign schools in Korea.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obtain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EIU in their schools. A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principals of 28 foreign schools and 13 of them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representing 46% of response r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quality of the foreign schools has been increased as most foreign schools obtaine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in recent years. They emphasize EIU philosophy in their curriculum goals, but, in practice, EIU is mostly implemented in social studies subjects or extra-curricular or after-school activities rather than dealt with across the school curriculum. Among six major themes in EIU, cultivat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s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theme by the princip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le the themes like respecting for social justice, peace and human rights, or understanding globalization and global interdependence were relatively less emphas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direction of EIU in the foreign schools: First, the foreign schools in Korea need to integrate more EIU elements into their curricula as an 'international school' though they are forced to prepare their students to enter universities; Second, all of EIU themes are needed to be infused in balance in school curricula, not emphasizing only one or two themes; Third, IB curriculu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IU, needs to be adopted at more foreign schools in Korea; Finally Korean programs, which are now more focused on language instruction, need to include more interactive learning such as direct cross-cultur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t foreign schools and students at local Korean schools.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SER000001922.2015.10.1.002 http://cafe.daum.net/333777999 |
ISSN: | 2005-3665 2671-55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