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정식 후 식물체 생육 및 과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
딸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정식 후 식물체 생육 및 과실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묘 크기의 기준은 크라운 직경의 크기로 하여 3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A등급 묘는 9.0 mm이상, B등급 묘 8.0∼8.9 mm, C등급 묘 8.0 mm이하로 하였다. 정식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뿌리 활착 및 식물체 생육이 좋았고, 개화기도 빨랐다. 정화방 첫 꽃 개화기는 A등급 묘가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10일, 평균 개화기는 2∼3일 정도 빨랐다. A등급 묘의 1주당 4월까지 누적수량은 481 g, B...
Saved in:
Published in | 농업생명과학연구, 45(4) pp. 81 - 86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08.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딸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정식 후 식물체 생육 및 과실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묘 크기의 기준은 크라운 직경의 크기로 하여 3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A등급 묘는 9.0 mm이상, B등급 묘 8.0∼8.9 mm, C등급 묘 8.0 mm이하로 하였다. 정식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뿌리 활착 및 식물체 생육이 좋았고, 개화기도 빨랐다. 정화방 첫 꽃 개화기는 A등급 묘가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10일, 평균 개화기는 2∼3일 정도 빨랐다. A등급 묘의 1주당 4월까지 누적수량은 481 g, B등급 445 g, C등급 422 g 으로서, 크라운 직경이 가장 큰 A등급 묘는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8.1%, 13.9% 증수되었고, 2월까지의 초기수량은 A등급 묘가 B,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23.3%, 39.1% 많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rown diameter on plant growth after planting and fruit yield. All nursery pl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A, > 9 mm; B, 8∼9 mm; C, < 8 mm. The A-class nursery plant plot showed better root and plant growth after planting compared to the B-class and C-class nursery plants. The A-class nursery plant plot was 10 days faster in first flowering time then those of the B-class and the C-class. Also, the A-class nursery plant plot was 2∼3 days faster in the mean flowering time. The accumulative yield of the A-class nursery plant plot was 481 g per plant, that of the B-class was 445 g, and the C 422 g, which the nursery plant plot of A-class yielded more 8.1% and 13.9% respectively than B-class plot and C-class plot per plant. In early yield of to February; A-class nursery plant plot showed 23.3% higher yield than B-class nursery plant plot, and 39.1% higher the C-class nursery plant.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1926.2011.45.4.009 |
ISSN: | 1598-5504 2383-8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