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첨가가 느타리 버섯 폐배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성상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미생물 첨가가 느타리버섯 폐배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은 느타리버섯 폐배지에 미생물 무첨가구(CON), 고초균 첨가구 (Bacillus subtilis 2⨯1010 cfu/g; BS), 유산균 첨가구(Lactobacillus plantarum 2⨯1010 cfu/g; LP) 및 혼합균 첨가구(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1:1; BL)로 4 시험구를 설정하고 6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직후 0, 1, 2, 4...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47; no. 5; pp. 229 - 236
Main Authors 김동현, 제연주, 이혁준, 아만, 민찬식, 김삼철, D. H. Kim, Y. J. Jae, H. J. Lee, Sadar M. Amanullah, C. S. Min, S. C.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0.2013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미생물 첨가가 느타리버섯 폐배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은 느타리버섯 폐배지에 미생물 무첨가구(CON), 고초균 첨가구 (Bacillus subtilis 2⨯1010 cfu/g; BS), 유산균 첨가구(Lactobacillus plantarum 2⨯1010 cfu/g; LP) 및 혼합균 첨가구(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1:1; BL)로 4 시험구를 설정하고 6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직후 0, 1, 2, 4 및 6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발효 6일후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BS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NDF 함량은 LP구와 BL구에서, ADF 함량은 미생물을 첨가한 모든 시험구에서 높은(P<0.05) 반면, in vitro 건물소화율은 CON구가 높았다 (P<0.05). Lactate와 propionate 함량은 CON구와 BS구가 타 시험구에 비해 높았다(P<0.05). 한편 발효 0일에 유산균 함량은 BS구와 LP구에서 높았으며(P<0.05), 발효 1일에 유산균 함량은 LP구에서, 고초균 함량은 BL구에서 각각 높았다(P<0.05). 발효 2일에 lactate와 propionate 함량은 LP구와 BL구에서 타 시험구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에서와 같이 BS 첨가는 발효과정 중 유기산 생성량 개선에는 유리하나 건물소화율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effects of micro-organism supplement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 nutrient content and microbial count of spent mushroom substrate. Treatments were untreated mushroom substrate (CON), mushroom substrate treated with Bacillus subtilis (2⨯1010cfu/g; BS), Lactobacillus plantarum (2⨯1010cfu/g; LP) and combo (Bacillus subtilis : Lactobacillus plantarum = 1:1; BL). Mushroom substrates were incubated for 6 days. Samples were obtained at 0, 1, 2, 4 and 6 days of incubation for analyses. After 6 days of incubation, BS had highest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but decrease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P<0.05). The IVDMD was higher in CON (P<0.05). Concentrations of lactate and propionate was higher (P<0.05) in LP and BL at the initial stage (2 days) of fermentation.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persisted at the end. After 6 days, CON and BS have had the higher (P<0.05) concentration of these two acids. Overall, BS improve organic acids production, but could decrease IVDMD.
Bibliography:G704-001926.2013.47.5.002
ISSN:1598-5504
2383-8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