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와 혈장 요소태 질소(PUN)와의 관계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1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Ⅰ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 지연 Ⅱ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Online) pp. 199 - 205
Main Authors 손준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김현섭(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박춘근, 박수봉(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안병석, 박성재, 백광수, 전병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30.09.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1-4639
2671-46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1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Ⅰ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 지연 Ⅱ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공시우의 18%(35/194)는 분만 후 60일이 경과되어도 난소 주기가 재개되지 않았다. 황체기의 연장과 첫 배란의 지연이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를 지연시키는 대표적인 난소 이상이다. PUN의 농도가 <15, 15~19.9와 ≥20 mg/ dl인 소들의 정상적 난소 주기 재개의 likelihood ratios는 각각 0.9, 1.74와 0.55이었다. 15~19.9 mg/ dl의 PUN 농도가 난소 주기의 재개에 가장 좋았고, 높거나 낮은 PUN 농도는 난소 주기의 재개에 나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umption of postpartum ovarian cyclicit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s of plasma urea nitrogen (PUN) and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in Holstein cows. The cows were considered to have resumed ovarian cyclicity on the day of ovulation, if followed by regular ovarian cycles. 58.8 percentage of the cows (114/194) had normal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resumption within 40days after calving), and 41.2% (80/194) had delayed resumption (resumption did not occur until> 40days after calving). Delayed resumption Type Ⅰ(one or more ovarian cycles with luteal phase> 20days, i.e. prolonged luteal phase; 17.5%) and delayed resumption Type Ⅱ (first ovulation did not occur until ≥40days after calving, i.e. delayed first ovulation 22.7%)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delayed resumption. 18 percentage of the cows (35/194) did not resume their ovarian cyclicity until 60days postpartum. Prolonged luteal phase and delayed first ovulation were two important ovarian dysfunctions that delayed postpartum resumption of cyclicity in dairy cows. Cows with PUN of <15, 15~19.9 and ≥20 mg/dl had the likelihood ratios of normal ovarian cyclicity of 0.9, 1.74 and 0.55, respectively. Thus, PUN concentration of 15~19.9 mg/dl had a favorable association with postpartum resumption of cyclicity, whereas lower or higher PUN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postpartum resumption of cyclicity.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1405.2006.21.3.007
ISSN:2671-4639
2671-4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