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산염 화합물 함유 식물 추출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본 시험은 질산염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반추위 메탄 발생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재료는 감자, 당근, 배추, 상추 및 시금치 추출물을 사용하 였으며, 발효 기질은 2mm로 분쇄된 timothy 0.3g을 사용하였다. In vitro 실험은 조사료(timothy) 및 배합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발효액을 0.3g timothy와 식물 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0; no. 2; pp. 95 - 105
Main Authors 이신자, 이수경, 김민성, 이성실, Shin Ja Lee, Su Kyoung Lee, Min Sung Kim, Sung Sill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4.2016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6.50.2.9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시험은 질산염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반추위 메탄 발생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재료는 감자, 당근, 배추, 상추 및 시금치 추출물을 사용하 였으며, 발효 기질은 2mm로 분쇄된 timothy 0.3g을 사용하였다. In vitro 실험은 조사료(timothy) 및 배합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발효액을 0.3g timothy와 식물 추출물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20mL 분주한 뒤, 39℃에서 9, 12, 24, 4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pH는 발 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며, 6.31~6.96으로 정상범위였다. 건물 소화율은 9시간 배추 추 출물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암모니아 농도는 감자, 배추, 상추 추출물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 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반추위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24시간대의 당근 추출물구에서 높았 다(p<0.05). Acetate와 propionate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butyrate 농도는 첨가구간에 발효시간별로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12시간 및 24시간대에서 배추, 상추, 시금치 추출물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메탄 발생량은 감자, 배 추, 시금치 추출물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고,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한 첨가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결과적으로 본 시험에 사용된 5종의 질산염 함유 식물 추 출물은 반추위 발효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배추 추출물은 반 추위내 메탄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식물추출물로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ate-rich plants extracts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rumen methane production. The extracts of nitrate-rich plants, as potato, carrot, chinese cabbage, lettuce and spinach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concentrate and timothy in the ratio of 6 to 4. The 20mL of mixture, comparing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50mL serum bottles containing 0.3g of timothy substrate and extracts of nitrogen-rich plants.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39℃ for 9, 12, 24, 48 hours. The pH value was decreased by increased incubation times and normal range to 6.31 to 6.96. The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chinese cabbage than in control at 9h incubation time. Ammoni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potato, chinese cabbage, lettuce than in control and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carrot than in control at 24h incubation time. The concentrations of acetate and propionate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butyrate was showed a different pattern depending on treatments. Total gas emissions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chinese cabbage, lettuce, spinach than in control at 12h, 24h incubation time. Methan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potato, chinese cabbage, spinach than in control,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nitrate-rich plant extracts in ruminal fermentation in vitro resulted in decreasing the methane produc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chinese cabbage extract was regard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reducing the methane emission in ruminants.
Bibliography:G704-001926.2016.50.2.001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6.50.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