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경험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assignment of exploration on individuals provides challenging work environments, while it generates high levels of complexity. On the other hand, the assignment of exploitation on individuals offers less challenging work environments, while it makes low levels of complexity. Give the characteri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4; no. 8; pp. 365 - 37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The assignment of exploration on individuals provides challenging work environments, while it generates high levels of complexity. On the other hand, the assignment of exploitation on individuals offers less challenging work environments, while it makes low levels of complexity. Give the characteristics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 argue that the assignments of both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create the favorable work environments to individuals. Develope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 logit regression from a sample of 168 project managers in a R&D center. I found that a manager who experienced exploitation project(s) is positively related to higher performance in exploitation project(s). In addition, a manager who experienced both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projects a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project performance. 탐색은 도전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지만, 높은 수준의 복잡성과 모호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그에 반해, 활용은 덜 도전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며, 낮은 수준의 복잡성과 모호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두 활동의 특성을 고려해 보면, 두 가지 활동을 동시에 프로젝트 매니저들에게 할당하는 것은 가장 좋은 프로젝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168명의 프로젝트 매니저들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활용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매니저들은 활용 프로젝트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고, 활용과 탐색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매니저들은 프로젝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높은 프로젝트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426636276727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