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슈퍼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Science and technologies develop rapidly and in condi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demands innovation. To strengthen the businesses' competitive edge, the key challenge is not to control but rather grant autonomy,...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2; no. 4; pp. 175 - 18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Cover
Summary: | Science and technologies develop rapidly and in condi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demands innovation. To strengthen the businesses' competitive edge, the key challenge is not to control but rather grant autonomy, allowing it to anticipate the future and actively deal with. This will allow to train and manage talented people with competence and abilities, which all links to the concept of the Super Leadership. Currently, our society is in the change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ve and paradigm related with high-tech industry, hence is in desperate need for creativeness and speed management. It is a time where risk and challenges coexist and is not a standardized environment. Businesses must make efforts in managing human resources and allow them to have leaderships compatible with the current era, giving them opportunities to face challenges. The necessity for Super Leadership is emphasized especially in the industry-orientated era, where new revolutionary technologies are emerging and existing technologies are being advanced and maximized, to cultivate the potentials of the members and secure competitive superiority for the best management and cre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 Leader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business outcome was conducted. Research outcome states that,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business outcome, enterprises need to invest more in developing leaderships and in accordance with it, promote talent. In order to survive and sustain growth in the period of endless competition like today, it is concluded that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powerful Super Leadership that will endeavor to engage and maximize the competence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과학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국내외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급변하는 경영환경은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적인 과제는 통제가 아닌 자율권을 부여함으로써 미래를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관리 하는 것이며 이와 연결되는 개념이 슈퍼리더십이다. 지금 우리의 사회는 첨단 산업과 관련된 4차 산업혁명의 물결과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창의성과 스피드 경영이 절실하다. 현 사회는 정형화된 환경이 아닌 위험과 도전이 공존하는 시간이다. 기업은 인재관리를 위한 노력과 그들이 현시대에 맞는 슈퍼리더십을 갖추어 도전할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새로운 혁명적인 기술이 출현 되고 기존의 기술이 고도화 및 극대화되는 산업 중심 시대에 구성원들의 잠재 능력을 배양해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최고의 경영성과 창출을 위해 특히 슈퍼리더십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슈퍼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이 지속할 수 있는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슈퍼리더십을 개발하고 그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는데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무한 경쟁 시대에 기업이 지속할 수 있는 성장과 더불어 생존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역량 극대화에 노력하고 그들이 몰입하게 하는 강력한 슈퍼리더십 구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6439087620 |
ISSN: | 1975-7557 2671-9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