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체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카페인 섭취의 상관성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caffeine intake in workers in industrial posi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caffeine intake.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61 blue collar workers working for K manuf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49; no. 5; pp. 367 - 377
Main Authors 임지숙(Yim, Ji-Suk), 이재준(Lee, Jae-J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caffeine intake in workers in industrial posi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caffeine intake.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61 blue collar workers working for K manufacturing company, Gwangju. Results: The total score for job stress in subjects was $72.7{\pm}6.8points$/100points. According to job stress,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Q1 for the group who had the least stress; Q2 for the group who had little stress; Q3 for the group who had a lot of stress, and Q4 for the group who had the most stress. As for the effects of caffeine on health, 57.1% thought that caffeine is helpful and not harmful if taken properly while 17.3% responded that less caffeine consumption is better. Daily intake of caffeine according to stress was presented as: $172.0{\pm}85.3mg$ in Q1, $179.0{\pm}83.7mg$ in Q2, $187.9{\pm}81.4mg$ in Q3, and $214.2{\pm}147.3mg$ in Q4 (p < 0.05). The percentages of caffeine consumption compared to the daily safe limit in subjects were: $43.0{\pm}21.3$, $44.8{\pm}20.9$, $47.1{\pm}20.4$, and $53.6{\pm}36.8%$ in Q1, Q2, Q3, and Q4, respectively (p < 0.05). Adverse effects such as nausea or vomiting from caffeine were most common in Q4 (p < 0.05). Conclusion: As a result, higher stress in blue collar workers working for K manufacturing company was associated with more caffeine consumption. Groups with a lot of stress (Q4) consumed approximately 50% of daily safe limit of caffeine.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on more precise caffeine intake and its effects is needed. 본 연구는 산업체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카페인 섭취량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카페인 섭취량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총합은 100점 환산 기준으로 $72.7{\pm}6.8$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그룹은 Q1,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그룹은 Q2,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그룹은 Q3,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그룹은 Q4로 구분 하였다. 이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조직적 관리체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21.9{\pm}3.3$점으로 직무요구도 $19.9{\pm}5.1$점, 보상 부적절 $16.1{\pm}2.5$점, 직무자율성 결여 $14.7{\pm}2.1$점에 비해 가장 높았다. 카페인에 대한 인지도 조사결과 카페인이 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군 (Q4)에서 '적당히 마시면 도움이 되고 해롭지 않다' 57.1%, '적게 마실수록 좋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17.3%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카페인은 적당히 섭취하면 도움이 되고 해롭지 않으나 적게 마실수록 좋다고 하였다.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카페인 섭취량을 보면 커피믹스 (1봉 47.51 mg)는 Q3에서 $86.1{\pm}56.4mg$ (p < 0.01), 자판기 커피 (1잔 47.51 mg)는 Q2에서 $62.3{\pm}60.9mg$ (p < 0.05), 커피전문점 커피 (1잔 158.43 mg)는 Q4에서 $40.7{\pm}88.7mg$ (p < 0.001), 녹차 (1티백: 28 mg)는 Q4에서 $18.4{\pm}32.4mg$ (p < 0.0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른 카페인 일일섭취량은 Q1에서 $172.0{\pm}85.3mg$, Q2에서 $179.0{\pm}83.7mg$, Q3에서 $187.9{\pm}81.4mg$, Q4에서 $214.2{\pm}147.3mg$ 으로 Q4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본 연구 결과 카페인 최대 일일 섭취권고량 대비 실제 카페인 섭취량 비율은 Q1에서 $43.0{\pm}21.3%$, Q2에서 $44.8{\pm}20.9%$, Q3에서 $47.1{\pm}20.4%$, Q4에서 $53.6{\pm}36.8%$로 일일섭취량과 같이 Q4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카페인 섭취에 따른 부작용으로는 속이 메슥거리거나 구토와 같은 부작용이 Q4에서 $2.7{\pm}0.8$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대상자들의 카페인 섭취량은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r = 0.137, p = 0.009), 평균 근무시간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r = 0.122 p = 0.001), 수면시간 역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r = 0.169, p = 0.001). 반면 카페인 섭취량과 근무기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 = -0.114. p = 0.031). 본 연구의 결과, K 제조공장 근로자들은 스트레스 정도가 높아질수록 섭취하는 카페인 섭취량이 많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군에서는 최대 일일 섭취권고량 대비 실제 카페인 섭취량 비율이 50% 정도로 나타나 한국 20세 성인남자보다 2배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32740905290
ISSN:2288-3886
2288-3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