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mbined effects of gamma linolenic acid and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menopausal symptoms and serum lipids in 73 postmenopausal women. A tota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isoflavone (30 mg) + gamma-linolenic acid (110 mg) group or placebo group. W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ʼguk yongyang hakhoe chi Vol. 43; no. 2; pp. 123 - 131
Main Authors 곽정현(Gwak Jung Hyun), 김지영(Kim Ji Young), 김혜진(Kim Hyae Jin), 신동혁(Shin Dong Hyeok), 이종호(Lee Jo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463
2005-7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mbined effects of gamma linolenic acid and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menopausal symptoms and serum lipids in 73 postmenopausal women. A tota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isoflavone (30 mg) + gamma-linolenic acid (110 mg) group or placebo group. We measured menopausal symptoms by modified Kupperman Index (KI) and oxidized LDL, lipid peroxides, blood component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12 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the 12 weeks of supplementation, supplement group and placebo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modified kupperman index (p < 0.001). Isoflavone (30 mg) + gamma-linolenic acid (110 mg) supple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oxidized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 (p = 0.006) whereas placebo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consump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LD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apo A1, B and blood components. The result of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supplementation of 30 mg isoflavone and 110 mg gamma-linolenic acid per day for 12 weeks may protect LDL cholesterol from oxidative stress.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021147395463
ISSN:0367-6463
2005-7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