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계획 수립 절차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광역시 시설물을 중심으로

As the variety and scale of facilities increas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lind spots for facility safety management have occurred, resulting in numerous casualties.To meet safety and security needs of citizens living in smart cities, we present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integ...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Vol. 14; no. 4; pp. 257 - 268
Main Author 장혜정(Hye-Jung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081X
2288-9302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s the variety and scale of facilities increas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lind spots for facility safety management have occurred, resulting in numerous casualties.To meet safety and security needs of citizens living in smart cities, we present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platform for facility safety management by combining 5G and digital twin technologies. It can be used to perform inspection according to risk factors and aging of facilities.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y management and application directions of new 5G digital twin-based smart city technologies are reviewed and digital twin implementation procedures are presented. Five cities were selected as target areas: Osan, Gwangmyeong, Guri, Uijeongbu, and Anyang. Old and emergency facilities of each local government were selected. A total of 33 digital twin facilities reflecting policy directions of each city were selected. Focusing on facilities determined by each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elements for the application of the 5G digital twin facility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platform, define categories of implementation services, and suggest a concrete integrated platform configuration plan. 도시중심의 생활로 시설물의 종류가 늘고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시설물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다수의 인명피해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 시티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안전과 안심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는 방안으로 5G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수립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시설물에 대한 위험 요소와 노후화에 따른 점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관리의 현황과 5G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시티 신기술 적용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하기 위한 추진 절차를 제시한다. 대상 지역은 수도권 광역도시 지역으로 안양시, 의정부시, 구리시, 광명시, 오산시 5개 도시를 선정하였다. 추진 절차는 각 지자체의 다중이용 목적 시설물 중에서 노후화되고 관리가 시급한 시설물을 플랫폼 구축 전문가와 지자체 스마트시티 담당자와 선정한 뒤 시별 정책 방향을 반영하여 디지털 트윈 시설물 대상 33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확정된 시별 시설물을 중심으로 5G 디지털 트윈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으로 구축하기 위한 정보기술 인프라 요소와 구현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정의한 뒤 구체적인 통합플랫폼 구성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25761276603
ISSN:2005-081X
2288-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