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및 관계적 사회 자본이 SNS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 capital is accumulated and used in SNS space, furthermore,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on SN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information sharing. The empirical test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ties hav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 19; no. 12; pp. 287 - 298
Main Author 김유정(Yoo-J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 capital is accumulated and used in SNS space, furthermore,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on SN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information sharing. The empirical test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tie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relational social capital(trust in SNS site, trust in SNS user, reciprocity). In addition, it was proven that trust in SNS site played a critical role in satisfying SNS user whereas trust in user and reciprocity was not related to SNS user satisfaction. Finally, trust in SNS site and reciprocity were proven to be key determinants of continuou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whereas trust in user was not related to continuou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본 연구에서는 SNS 공간에서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형성되고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나아가 구조적 및 관계적 사회 자본이 이용자만족도와 지속적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연대감(구조적 사회 자본)은 관계적 사회 자본(SNS 사이트 신뢰, SNS 이용자 신뢰 및 상호호혜성)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관계적 사회 자본 중 SNS 사이트 신뢰가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SNS 이용자 신뢰 및 상호호혜성은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사회 자본 중 SNS 사이트 신뢰, 상호호혜성은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SNS 이용자 신뢰는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SNS 공간에서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02755362946
ISSN:1598-849X
2383-9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