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외상으로 인한 상악 전치부 파절 시 Endocrown을 이용한 수복: 증례 보고

Complicated crown fractures of maxillary anterior teeth caused by trauma in adolescence can cause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For crown fractures with pulp exposure, various restorative methods can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maining tooth structure. Direct resin restorations 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ol. 40; no. 1; pp. 24 - 30
Main Authors 이소연(So-Yeon Lee), 손성애(Sung-Ae Son), 박정길(Jeong-Kil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4353
2384-42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Complicated crown fractures of maxillary anterior teeth caused by trauma in adolescence can cause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For crown fractures with pulp exposure, various restorative methods can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maining tooth structure. Direct resin restorations are the most traditional and effective method, but they are likely to discolor and break over time. Fixed prosthesis have a high possibility of re-restoration due to marginal disharmony due to tooth movement during the growth period, and restorations using post which are mainly performed for extensive crown fractures increase the risk of root perforation and root fracture. However, endocrown is an integrated structure that gains retention force from the pulp space, enabling effective reconstruction from a biomechanical perspective and providing advantages in restoring function and aesthetics. Therefore, endocrown can be considered as a restoration method for complicated crown fractures caused by trauma in adolescence. 청소년기 외상으로 인한 상악 전치부의 복잡 치관 파절은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치수 노출을 동반한 치관 파절은 남아있는 치질의 양에 따라 다양한 수복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직접 레진 수복은 가장 일차적으로 고려되는 전통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되고 깨질 가능성이 높다. 전장관 수복은 성장기의 치아 이동으로 변연 부조화에 의한 재수복 가능성이 높으며 광범위한 치관 파절 시 주로 시행하는 포스트 수복은 치근 천공 및 치근 파절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Endocrown은 치수강 공간으로부터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일체형 구조로 생체역학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재건이 가능하고 기능과 심미성의 회복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Endocrown은 청소년기 외상으로 인한 복잡 치관 파절의 수복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09463161617
ISSN:2384-4353
2384-4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