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발음 교육에 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단일 언어 학습자의 발음교재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고,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고 오류 유형을 고려하여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발음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한국인과 같은 발음이거나 비슷한 발음 수준을 원하고 있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발음 교육의 목표를 정하였고 그에 따라 적합한 단원구성과 제시방법을 선택하여 실제 단원 구성을 하였다. This study 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어문화교육 Vol. 6; no. 1; pp. 75 - 102
Main Authors 윤혜진(Hye Jin Yoon), 최은정(Eun Jung Choi), 교흔(Xin Qia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어문화교육학회 30.03.2012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6370
2635-489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발음 교육에 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단일 언어 학습자의 발음교재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고,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고 오류 유형을 고려하여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발음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한국인과 같은 발음이거나 비슷한 발음 수준을 원하고 있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발음 교육의 목표를 정하였고 그에 따라 적합한 단원구성과 제시방법을 선택하여 실제 단원 구성을 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he ways of textbook development in Korean pronunciation for Chinese speaker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s on pronunciation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and learners. This study aims at elucidating the needs for the pronunciation textbooks of single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ing the ways of developing pronunciation textbooks through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and considering error types. In terms of pronunciation, it establish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pronunciation education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who reach the same level as Koreans or want to reach a similar level to Korean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real composition of unit by selecting an appropriate unit and suggestion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education.
ISSN:2586-6370
2635-4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