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조생 내도열병 다수성 찰벼 ‘청백찰’

조숙 내병 고품질 찰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2000년 하계에 조숙 내도열병 내도복성인 SR20261-5-4-10 계통을 모본으로 조생찰벼인 진부찰을 인공교배하여 SR26688-1-2-2 계통을 선발하여 철원7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08~2010년 3 개년 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 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 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백찰’로 명명되었다. ‘청백찰’의 출 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27일로 ‘오대’보 다 4일 빠른 극조생종이다. 벼키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5; no. 4; pp. 463 - 467
Main Authors 원용재(Yong-Jae Won), 신영섭(Young-Seop Shin), 안억근(Eok-Keun Ahn), 김명기(Myeong-Ki Kim), 김연규(Yeon-Gyu Kim), 이점호(Jeom-Ho Lee), 전용희(Yong-Hee Jeon), 정국현(Kuk-Hyun Jung), 양창인(Chang-Ihn Yang), 윤영환(Young-Hwan Yoon), 조영찬(Young-Chan Cho), 천아름(Areum Chun), 이상복(Sang-Bok Lee), 오명규(Myung-Gyu Oh), 정희채(Hi-Che Chung), 현웅조(Ung-Jo Hyun), 정응기(Eung-Gi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육종학회 30.12.2013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조숙 내병 고품질 찰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2000년 하계에 조숙 내도열병 내도복성인 SR20261-5-4-10 계통을 모본으로 조생찰벼인 진부찰을 인공교배하여 SR26688-1-2-2 계통을 선발하여 철원7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08~2010년 3 개년 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 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 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백찰’로 명명되었다. ‘청백찰’의 출 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27일로 ‘오대’보 다 4일 빠른 극조생종이다. 벼키는 68 cm로 ‘오대’의 69 cm 와 비슷하며, 이삭길이와 주당 이삭수도 19 cm와 14개로 ‘오 대’와 비슷하나 이삭당 입수는 80개로 ‘오대’보다 많으며, 등 숙율은 78.5%로 ‘오대’보다 약간 낮고, 현미 천립중이 22.3 g으로 중립종이다. ‘청백찰’은 도열병저항성은 ‘오대’보다 강 하나,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벼멸구에 대한 저항성 이 없다. ‘청백찰’은 불시출수 현상은 ‘오대’와 비슷하였고 위 조현상은 없고, 내랭성검정 결과 내랭성이 ‘오대’와 비슷한 정도를 보였으며, 도복에 강한 편이다. ‘청백찰’의 제현율은 80.8%로 ‘오대’(82.5%) 보다 약간 낮고, 현미 장폭비가 1.86 으로 중단원립이다. 백미외관은 찹쌀이므로 뽀얗게 보이고, 알칼리 붕괴도는 ‘오대’의 6.7에 비해 5.5로 낮으며 단백질함 량은 7.1%로 ‘오대’의 6.7보다 약간 높다. 북부평야, 중산간 지 및 남부 고랭지 5개소, 동북부 해안 1개소, 중북부 고랭지 1개소에서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쌀수량은 5.35 MT/ha로 대 비품종 ‘오대’의 5.39 MT/ha과 비슷한 수량성을 보였다. ‘청 백찰’의 재배적지는 북부평야, 중산간지, 남부 및 중북부 고랭 지 및 동북부 해안지이다. The ‘Cheongbaekchal’, a glutinous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0.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R20261-5-4-10 and ‘Jinbuchal’ which is an extremely early maturing variety with northern alpine area adaptability. The heading date of ‘Cheongbaekchal’ is July 27 that is 4 days earlier than that of ‘Odae’. This cultivar has 68 cm of culm length, 14 tillers per hill and 80 spikelets per panicle that is more than that of ‘Odae’. This variety showed similar cold tolerance to ‘Odae’ while exposed to cold stress. This variety showed resistance to blast disease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stripe viru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opaque and glutinous endosperm and short grain shape. This variety has lower Alkali digestive value (5.5) than that of ‘Odae’. The dehulling recovery rate of ‘Cheongbaekchal’ is lower than those of ‘Odae’.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Cheongbaekchal’ was 5.35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Cheongbaekchal’ is adaptable to northern plain and mid-mountainous, southern alpine and nor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ISSN:0250-3360
2287-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