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가상공간을 활용한 도시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특히 메타버스의 부상이 현대 도시재생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다.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가 도시재생에 새로운 차원을 제공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중요 요소로서의 잠재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가 현대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 사례연구, 분석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메타버스의 도시재생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문헌조사는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 과정과 현재 활용 사례를 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82; pp. 241 - 24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21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특히 메타버스의 부상이 현대 도시재생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다.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가 도시재생에 새로운 차원을 제공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중요 요소로서의 잠재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가 현대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 사례연구, 분석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메타버스의 도시재생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문헌조사는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 과정과 현재 활용 사례를 조명하며, 사례연구는 실제 도시재생 프로젝트에서 메타버스의 적용 사례를 분석한다. 시뮬레이션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도시재생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그 효과와 잠재적 문제점을 평가한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메타버스는 가상 투어, 역사적 및 문화적 유산의 복원 등을 통해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기여한다. 메타버스는 도시재생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도시재생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메타버스는 지역사회의 참여를 촉진하고,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
결론 메타버스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확대 적용은 기술적 장벽과 접근성 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메타버스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와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가 도시재생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apid digital technology advancements, particularly the rise of the metaverse, on modern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he aim is to understand how the metaverse can provide a new dimension to urban regeneration and explore its potential as a critical element i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study assesses whether the metaverse can establish itself as a new paradigm in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employ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nalytical simulation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metaverse in urban regeneration. The literature review illuminates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technology and its current applications, while the case studies analyze real-world applications of the metavers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imulations are used to construct urban regeneration scenarios using the metaverse, assessing their effectiveness and potential challenges.
Resul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taverse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efficac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virtual tours,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more. It proves useful in simulating various urban regeneration scenarios, aiding in the formulation of more accurate and effective regeneration plans. Additionally, the metaverse fosters community engagement and increases the accepta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clusion The metaverse holds the potential to become a new paradigm in urban regeneration. However, its broader application is accompanied by technological barriers and accessibility issues. Therefore, further research and strategy development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fully leverage the metaverse's potential. This study highlights the metaverse's capability to offer innovative solutions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