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인의 “예의(禮儀)” 인식과 선진시기 예(禮)의 정치적 함의

80년대 이래 문화심리학에서는 한국 특유의 심리현상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고, 그 중 체면, 눈치, 의례성, 권위주의 등은 그 연원이 유교문화의 “예”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지목되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이와 관련하여 외면적 형식주의와 허식성, 억압적 질서의 옹호 등 역기능을 부각시켰으며, 이들이 기존의 불평등하고 억압적인 질서를 옹호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비판이 예의 변질에 대한 것이라면 타당하지만, 이것이 곧 예의 본래 취지라고 한다면 이는 상당한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상고시대 예는 제의에서 기원하여 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孔子學, 0(47) Vol. 47; pp. 243 - 278
Main Authors 홍린, Hong Ly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공자학회 30.06.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80년대 이래 문화심리학에서는 한국 특유의 심리현상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고, 그 중 체면, 눈치, 의례성, 권위주의 등은 그 연원이 유교문화의 “예”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지목되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이와 관련하여 외면적 형식주의와 허식성, 억압적 질서의 옹호 등 역기능을 부각시켰으며, 이들이 기존의 불평등하고 억압적인 질서를 옹호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비판이 예의 변질에 대한 것이라면 타당하지만, 이것이 곧 예의 본래 취지라고 한다면 이는 상당한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상고시대 예는 제의에서 기원하여 사회 전반의 행위·통치 규범으로 확대되어 사실상 오늘의 법률에 해당하는 구속력을 가졌다. 예에서 서열관계가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목적은 질성의 회복과 유지에 있었으며, 이는 예가 가지는 강자에 대한 제약과 약자에 대한 보호의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제4장에서는 이 점을 논증하기 위해 상급자와 강자가 일치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경우 예가 설명되는 방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분석했다. 예의 위반에 대한 제재는 형벌에 처하는 것이 아닌 명분의 부정을 통해 강자 혹은 상급자의 입지를 약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극적인 사례가 맹자와 순자의 역성혁명론이다. 명분의 상실은 구성원들이 지지를 철회했으며, 사실상 그 지위를 유지할 정당성과 동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체면이 상급자의 행위반경을 제약하는 방식에도 여전히 반영되어 있다. 체면의 근거는 윗사람이라면 지녔을 것이라고 기대되는 도덕성, 품위, 능력이며, 만약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체면을 상실할 시 사실상 그 지위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Since the 1980s, cultural psychology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Korea's unique psychological phenomena, and among them,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face, Nunchi, Ritualized Social Behavior, and authoritarianism is closely related to the “Li(禮)” of Confucian culture. In this regard, many researchers have highlighted adverse functions such as external formalism, ostentatiousness, and the advocacy of an oppressive order, and evaluate that they are acting as a mechanism for advocating the existing unequal and oppressive order. It is valid if this criticism is about the deterioration of “Li”, but if this is the original purpose of “Li”, it would be a considerable misunderstanding. Since prehistoric age, “Li” was originated from a proposal and expanded to the widespread norms of behavior and governance, effectively having binding force corresponding to today's law. Although hierarchy is an important factor in “Li”, the more fundamental purpose was constraint on the strong and protection of the weak. To argue this point, I discussed the way in which “Li”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case where the superior and the strong are correspond and the case where they are not correspond. Violating “Li” does not mean that sanctions were imposed through punishment. Instead, they imposed sanctions on the strong who violated “Li” through denial of justification. The most dramatic example is the revolution theory of Mencius and Xun-zi(荀子). The loss of justification means the loss of legitimacy and power to maintain the status, as it means that the people withdrew their support. This is still remained in the way in which face presses the range of behavior of superiors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basis for face is the morality, dignity, and ability that the superiors are expected to have, and if they fail to meet these expectations and lose face, it is more likely to be difficult to play a role suitable for their position.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Confucian Studies
ISSN:1738-2629
2713-766X
DOI:10.37300/GongJa.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