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에이프만의 발레 <안나 카레니나> 읽기 :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중심으로

본고는 2000년대 이후 톨스토이의 장편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발레화 작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 러시아 현대 발레의 거장 안무가 보리스 에이프만의 <안나 카레니나>(2005/2010)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발레 속에서 구현되고 있는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주인공의 심리적 에로틱 충동 연구”를 『안나 카레니나』 안무화 작업의 목표라고 밝힌 에이프만의 주장에 근거하여 본고는 에이프만이 다른 안무가들과는 달리 안나-브론스키-카레닌의 삼각애정 관계에만 집중함으로써 톨스토이의 원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소연구 Vol. 47; no. 2; pp. 343 - 383
Main Authors 朴仙英, Park¸ Sun 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5.08.2023
아태지역연구센터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47.2.202308.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고는 2000년대 이후 톨스토이의 장편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발레화 작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 러시아 현대 발레의 거장 안무가 보리스 에이프만의 <안나 카레니나>(2005/2010)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발레 속에서 구현되고 있는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주인공의 심리적 에로틱 충동 연구”를 『안나 카레니나』 안무화 작업의 목표라고 밝힌 에이프만의 주장에 근거하여 본고는 에이프만이 다른 안무가들과는 달리 안나-브론스키-카레닌의 삼각애정 관계에만 집중함으로써 톨스토이의 원작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에 얼마나 천착하였는지, 그리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극적이고 도 정교하게 구현해 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톨스토이의 생애와 창작(특히, 『안나 카레니나』) 속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먼저 살펴본 뒤 에이프만의 발레 속에서 표현되고 있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살펴본다. 즉, 제1막 군중 속 안나의 에로스적 환각 장면, 제1막 ‘농부’에 대한 안나의 악몽 장면, 제2막 모르핀 투약 후 에로스적 환각에 빠지는 안나의 장면, 발레의 마지막 장면인 제2막 안나의 주검 장면을 통해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주인공 안나 속에 지속적으로 공존하였음을 확인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ballet Anna Karenina (2005/2010), choreographed by Boris Eifman,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vitalizing of the ballet adaptation of Tolstoy’s novel Anna Karenina after the 2000s. Eifman insists that his choreographic work on Anna Karenina aimed to “explore the heroine’s psycho-erotic impulses”. This study traces how the choreographer, by focusing solely on the love triangle involving Anna, Vronsky, and Karenin from Tolstoy’s novel, addresses the concepts/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in the ballet adaptation. Initially, I’ve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in the life and works of Tolstoy,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novel Anna Karenina. After the close reading of the original novel text, I’ve also examined how the 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are portrayed in the ballet adaptation of Anna Karenina. This analysis encompasses scenes such as Anna’s erotic hallucination within a crowd in Act 1, her nightmare about muzhiki in Act 1, her morphine-induced hallucination in Act 2, and the concluding scene of the ballet featuring the carrying of Anna’s corpse in Act 2.
Bibliography:ASIA-PACIFIC RESEARCH CENTER HANYANG UNIVERSITY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47.2.202308.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