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93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 결과와 7명의 초등교사가 참여한 FGI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 분석 절차(Strauss & Corbin, 1997)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중심 현상(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 인과적 상황(초등체육수업의 전통적 장애 요인, 모형과 초등체육수업/교수자 사이의 부정합,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경험 및...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5; no. 1; pp. 181 - 194
Main Authors 박용남, Yongnam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1.03.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93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 결과와 7명의 초등교사가 참여한 FGI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 분석 절차(Strauss & Corbin, 1997)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중심 현상(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 인과적 상황(초등체육수업의 전통적 장애 요인, 모형과 초등체육수업/교수자 사이의 부정합,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경험 및 교사 지식 부족), 맥락적 상황(복잡한 초등체육 교수 체계, 강력한 놀이 수업 트렌드), 중재적 조건(흥미 중심의 체육수업 가치 정향, 신체활동가치 교육과정에 대한 오해), 상호작용 전략(교수 방법보다는 신체활동 선정, 유튜브 위주의 수업 준비), 결과(학습자 포괄 효과 및 탈교육과정화)로 이어지는 근거 이론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는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빚어낸 산물이며, 향후 반복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초등 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에서 모형 활용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ES) teachers' avoidance of teaching model-based instruction (MBI) in physical education (PE) lesson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n=93)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seven ES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dures (Strauss & Corbin, 1997). RESULTS Accordingly, we derived a grounded theory paradigm model composed of the core phenomenon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causal conditions (traditional difficulties of Elementary PE lessons, mismatch between MBI and ES teachers/PE lessons, lack of experience and teacher knowledge for/in MBI), contextual conditions (complex instructor organization, powerful trend of play), intervening conditions (value orientation for fun-focused PE, misunderstanding about PE curriculum), interactive strategies (focus on screening physical activities, preparing for PE lessons with YouTube rather than teacher guide book), and results (learner inclusive effects and de-curricularization). CONCLUSIONS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is a result of several reported problems with elementary PE lessons and is likely to be a recurring problem in the future. To encourage ES teachers’ MBI in PE less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practical knowledge of model use in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SSN:1598-2920
2233-7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