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삶의의미와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와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자살사고의 원인 변인을 찾기 위한 경로를 밝혀 자살사고에 대한 상담 및 치료에서 구체적인 개입방법 및 치료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대학생 400명을 선정하였으며,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를 활용하여 측정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삶...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 28; no. 1; pp. 37 - 5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313X 2383-9376 |
DOI | 10.17962/kjp.2025.28.1.00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와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자살사고의 원인 변인을 찾기 위한 경로를 밝혀 자살사고에 대한 상담 및 치료에서 구체적인 개입방법 및 치료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대학생 400명을 선정하였으며,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를 활용하여 측정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삶의의미와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의성과 함께 직·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와 영적안녕감의 유의미한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살사고에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삶의의미, 영적안녕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자살사고를 낮추기 위한 교육 및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suicidal though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400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AMOS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As a resul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spiritual well-being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he significant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is, I proposed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create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be usefully utilized in various settings such as education and counseling to reduce suicidal ideation. |
---|---|
Bibliography: | http://www.kpsychodrama.com/KOR/journal/journal.php |
ISSN: | 1229-313X 2383-9376 |
DOI: | 10.17962/kjp.2025.2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