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기 부모폭력 피해 여성의 사이코드라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본 연구는 부모의 폭력을 경험한 피해여성으로 살아온 삶에 대해 사이코드라마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삶과 사이코드라마에 의한 치유 경험을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2시간씩 진행한 사이코드라마에 8회 참여하였으며, 2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회기마다 녹취록과 인터뷰 자료와 경험보고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 삶의 이야기는 ‘폭력에 시달리고 사랑받지 못한 채 버틴 세월’, ‘동생 죽음에 대한 죄책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 27; no. 2; pp. 21 - 3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3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313X 2383-937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부모의 폭력을 경험한 피해여성으로 살아온 삶에 대해 사이코드라마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삶과 사이코드라마에 의한 치유 경험을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2시간씩 진행한 사이코드라마에 8회 참여하였으며, 2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회기마다 녹취록과 인터뷰 자료와 경험보고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 삶의 이야기는 ‘폭력에 시달리고 사랑받지 못한 채 버틴 세월’, ‘동생 죽음에 대한 죄책감과 새로 태어난 동생 돌봄의 버거움’, ‘왕따 당했던 학교생활’, ‘엄마의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무너져버린 삶’, ‘대인관계 어려움으로 직장생활 중단’, ‘또 다른 불행의 시작이 된 현실 도피적 결혼’ 등이었다. 사이코드라마 경험의 의미는 ‘공감과 위로로 세상을 살맛나게 함’, ‘사람을 신뢰할 수 있는 힘이 생김’, ‘화해와 용서를 통해 현 가정이 회복됨’, ‘나를 사랑할 수 있게 됨’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rough narrative research, the life experiences and healing process of a female victim of parental violence as revealed during psychodrama sessions. The participant engaged in eight psychodrama sessions and two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to December 2023. Each session lasted two hour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The transcripts of each session and interview, along with experience reports, were analyzed using a narrative approach. Through the process, ‘the years of suffering from violence and not being loved’, ‘the guilt of the death of his brother and the burden of caring for his newborn brother’, ‘my school life was bullied’, ‘a life that fell apart due to my mother’s excessive dependence’, ‘quit my job due to Interpersonal difficulties’, ‘a marriage to escape reality that has begun another misfortune’ etc. The psychodrama experience was ‘make the world worth living with empathy and comfort’, ‘have the power to trust peopl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restored the present family’, ‘being able to love myself’ etc.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
Bibliography: | https://kaps.jams.or.kr/co/com/EgovMenu.kci?s_url=/sj/search/sjSereClasList.kci&s_MenuId=MENU-000000000053000&accnId=AC0000000002 |
ISSN: | 1229-313X 2383-93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