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충정도, 경기도 지역의 종사자이며, 조사기간은 2023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을 통해 최종 30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직업 전문성이 외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미용예술경영연구 Vol. 19; no. 4; pp. 103 - 121
Main Authors 이슬, Seul Lee, 장지연, Ji-yeon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30.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충정도, 경기도 지역의 종사자이며, 조사기간은 2023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을 통해 최종 30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직업 전문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 하위요인별 중 경제적 수단은 자율성, 서비스 신념, 준거집단의 활용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시중시는 서비스 신념, 자율성, 소명의식, 준거집단의 활용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안정추구는 서비스 신념, 자율성, 준거집단의 활용이 높을수록 안정추구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중 서비스 신념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사회적 인식중시와 경제적 수단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헤어종사자들이 직무의 다양성과 업무상의 자율성을 보장 받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을 위하여 업무 시 자유롭게 판단하며 보수보다는 보람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안심하고 일을 계속 할 수 있는 안정을 추구하였으며, 성공의 기준을 부로 평가하는 수단으로 보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종사자들의 직업가치관을 넓혀 개개인의 발전과 자존감을 높여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expertise on extrinsic job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hairdressing professionals. The survey targeted professionals from the metropolitan areas,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from May 1 to July 31, 2023, with 303 responses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ccupational expertise significantly affected extrinsic job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trinsic job values, economic mean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higher levels of autonomy, service beliefs, and reference group utilization. Social recogni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ervice beliefs, autonomy, sense of calling, and reference group utilization. Lastly, the pursuit of stability was also positively influenced by higher levels of service beliefs, autonomy, and reference group utilization, all showing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Regarding job satisfaction, service beliefs had a negative influence, while higher levels of social recognition and economic means in extrinsic job valu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airdressing professionals experience higher satisfaction when their job allows for diversity and autonom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eaningful work over financial rewards. Additionally, they sought stability that assured continuity in their work and sometimes viewed wealth as a benchmark for succes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the occupational expertise of hairdressing professionals. It is anticipated that broadening their occupational values will contribute to personal growth,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ongoing research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Bibliography: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ISSN:2508-2191
DOI:10.22649/JBAM.2025.19.4.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