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사이즈코리아 측정치를 반영한 조끼형 자세교정기의 사이즈 설정
연구배경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목디스크와 허리 디스크 환자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자세교정기도 널리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 자세 교정기는 최근의 인체치수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조끼형 자세교정기의 최적사이즈 간격 및 분포를 설정, 제공함으로써 산업체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제8차 Size Korea의 20세~69세의 남성 2,319명, 여성 2,773명의 총 5,092명을 대상으로 키, 허리둘레의 편차별 이원분포표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82; pp. 65 - 7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06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목디스크와 허리 디스크 환자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자세교정기도 널리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 자세 교정기는 최근의 인체치수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조끼형 자세교정기의 최적사이즈 간격 및 분포를 설정, 제공함으로써 산업체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제8차 Size Korea의 20세~69세의 남성 2,319명, 여성 2,773명의 총 5,092명을 대상으로 키, 허리둘레의 편차별 이원분포표를 토대로 각 구간별 출현율과 사이즈 개수를 고려하여 남성용, 여성용, 남녀공용 사이즈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출현율 4%이상으로 하여 남성용 사이즈 8개, 여성용 사이즈 7개, 남녀공용 사이즈 9개를 설정하였다. 커버율은 남성용 78.4%, 여성용 76.5%, 남녀공용 73.8%였으며 남성용과 여성용의 중복 사이즈는 163-80. 163-90이었다.
결론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인 사이즈는 남성용 170-90, 여성용 163-70, 남녀공용 164-80 이었으며 가장 낮은 출현율을 보인 사이즈는 남성용 163-80, 여성용 170-70, 남녀공용 156-90 이었으므로 산업체에서의 생산 수량 결정 시 이를 고려하여 출현율이 높은 사이즈는 좀더 많이 생산하고 낮은 사이즈는 좀더 적게 생산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Background With the increasing use of smart devic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ervical and lumbar disc issues has been steadily rising, leading to a widespread availability of posture correctors for correction. However, the currently available vest-type posture correctors on the market do not adequately reflect recent anthropometric dat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provide the optimal size intervals and distribution for vest-type posture correctors, taking recent anthropometric data into account. The goal is to enable practical utilization of this information by industries, ultimately enhancing consumer satisfaction.
Methods A total of 5,092 individuals, comprising 2,319 men and 2,773 women aged 20 to 69, participated in the 8th Size Korea survey. Based on the bivariate distribution table of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variances, the distribution rates and the number of sizes were determined for each segment. Using this information, sizes for men, women, and unisex categories were established.
Result Sizes were established, maintaining a occurrence rate of 4% or higher, resulting in 8 sizes for men, 7 sizes for women, and 9 sizes for unisex. The coverage rates were 78.4% for men, 76.5% for women, and 73.8% for unisex. Overlapping size designations between men and women were found in sizes 163-80 and 163-90.
Conclusion The sizes with the highest occurrence rates were men's 170-90, women's 163-70, and unisex 164-80, while those with the lowest occurrence rates were men's 163-80, women's 170-70, and unisex 156-90. Therefore, in determining the production quantity in the industry, it would be efficient to consider producing more of the sizes with higher occurrence rates and less of those with lower occurrence rates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