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보안성 확보 방안 연구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6; pp. 879 - 885
Main Authors 김준환, Jun-hwan Kim, 강지수, Ji-sue Kang, 임재진, Jae-jin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Cover

Abstract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3개 등급으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보안 등급에 따른 접근권한 분리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Existing aviation safety management has been difficult to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ecause individual stakeholders collect and analyze aviation safety data on their own. To implement the ecosystem of aviation safety data,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frastructure is also important, but above all, it is prerequisite to settle foundations and processes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signate aviation safety data security levels based on legal grounds and establish measures and procedures to sharing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viation safety dat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it was confirmed that a method of separating access rights according to each security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laid a detailed foundation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AbstractList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3개 등급으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보안 등급에 따른 접근권한 분리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Existing aviation safety management has been difficult to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ecause individual stakeholders collect and analyze aviation safety data on their own. To implement the ecosystem of aviation safety data,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frastructure is also important, but above all, it is prerequisite to settle foundations and processes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signate aviation safety data security levels based on legal grounds and establish measures and procedures to sharing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viation safety dat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it was confirmed that a method of separating access rights according to each security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laid a detailed foundation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KCI Citation Count: 0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3개 등급으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보안 등급에 따른 접근권한 분리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Existing aviation safety management has been difficult to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ecause individual stakeholders collect and analyze aviation safety data on their own. To implement the ecosystem of aviation safety data,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frastructure is also important, but above all, it is prerequisite to settle foundations and processes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signate aviation safety data security levels based on legal grounds and establish measures and procedures to sharing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viation safety dat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it was confirmed that a method of separating access rights according to each security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laid a detailed foundation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Author Ji-sue Kang
임재진
강지수
Jae-jin Lim
Jun-hwan Kim
김준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준환
– sequence: 2
  fullname: Jun-hwan Kim
– sequence: 3
  fullname: 강지수
– sequence: 4
  fullname: Ji-sue Kang
– sequence: 5
  fullname: 임재진
– sequence: 6
  fullname: Jae-jin L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118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1Lw0AAhm-oYK39BS43C4HcZ3JjKX4UKoJkPy7pRUI0kWRyz-DiGKSSQteCQqQt7v6c5vIfTK3Tw_vw8J6AXpImugf6CGNuCRvzYzDM88i3MSGU28ztg5u2_Nytt6Z8Mcuiea3NYtMWNdyravnz3c4r874yiwKaqmjLCjbrzb4tvmA7L7sBm3rVCWje6t324xQcheoh18N_DoB3eeGNr63p7dVkPJpaMWPM0shRjtKhSwQjGDFGQh8pRAMkWEAwCwXXribI4cFM61m3bURtlyHsd4nLyQCcH26TLJRxEMlURX-8T2WcydGdN5HI5lwgl3Xx2SGOozyXT1n0qLJnSRHlVBDyCwI5bT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항공안전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보안성 확보 방안 연구
Study on Securing Security for Sharing and Utilizing Aviation Safety Data
EndPage 88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69185
414649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ACYCR
ID FETCH-LOGICAL-k555-e17a7aef8395321553fb1a14c195c325f96e8e3176cdeed5f901408512bc19863
ISSN 1226-9026
IngestDate Thu Jan 09 03:21:54 EST 2025
Fri Apr 25 03:24:18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6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5-e17a7aef8395321553fb1a14c195c325f96e8e3176cdeed5f901408512bc19863
Notes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69185
kiss_primary_414649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4
  text: 202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항행학회논문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항행학회논문지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항행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항행학회
SSID ssib023346058
ssib044738254
ssib001151964
ssib022231880
ssib053377556
ssib008451602
Score 2.274627
Snippet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79
SubjectTerms Aviation information sharing
Aviation safety data
Data protection
Encryption
Legal review
항공우주공학
Title 항공안전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보안성 확보 방안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4649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1183
Volume 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항행학회논문지, 2024, 28(6), , pp.879-88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0_b9NAFD-1nVgQqCAKBVmCmyIj23dnn0fbMSqtwhSkbpbj2BAiEhQSITEwZWBhjFBRKnWtBFJQW7HzcRrnO_Ce7TgO6gBd7HfP7727d8_2_c5_3hHyBDFI24wMNZRtQ-V4SYW6jNQ2QGuWwAgYR_g3cuOFufeS7x-Kw43N3cpXS6Nh62n08cr_Sq4TVeBBXPEv2f-IbGkUGEBDfGELEYbtP8WY-nVqC-rUqe9Ql1FXUN9DjpRIOBqVnPoulXXqatkhIDhqAd_VautqmYJnUNfK7NrIQb5DHbtQlrxWiEpeVG57NawCzfC12rEKvbY0JUqhXFxbGkXx3KiVNdLB5hQJId-suYnNyY_WK44DYVJpL2VywqHSyxwX1M0Ix6Nu3icWleUbmsyejR974BGeEXlzyw9890c99fUHuAkedN6uqWmZT4XBzF9ZVeuocD7XDsICGBTPVYwye2NxJVzPtcpIArhWtbU8HcByqDFk5ZKqjhsyX1Hnr9TfHIYxbrNNssl0vIc3PvkrqAtQrfrGXOKKy6tUbgj7qqn2DMbW3oBzbjF8OLAsA-q3LJEtdly2HFAKTGLeA-rqDZIK6mreIjeL6ZLi5Of-bbLR7W-TxmLy4_LsIp18Tk_G8y-z9Ph8MZ4pyJqe_P61OJqm307T47GSTseLyVSZn52j7PinsjiaQEGZz06BoaRfZ5cX3--Q5jO_6e2pxbIgalcIoca6FVphnACyF8zAZa-Slh7qPNJtETFDJLYZyxhgsRm1AQBCGR8iwMTCaIGINNldstXr9-J7RAF_rZBpSdKSMHHnWsgMKISm3m4b0EXxDtnGDgje5YlfgiIeO-QxdEjQjToBJmfH_at-0B0EMAV9HugA4m1AwfevVn5AbqzOtl2yNRyM4oeAa4etR1mA_wDYZH-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AD%EA%B3%B5%EC%95%88%EC%A0%84%EB%8D%B0%EC%9D%B4%ED%84%B0+%EA%B3%B5%EC%9C%A0%C2%B7%ED%99%9C%EC%9A%A9%EC%9D%84+%EC%9C%84%ED%95%9C+%EB%B3%B4%EC%95%88%EC%84%B1+%ED%99%95%EB%B3%B4+%EB%B0%A9%EC%95%88+%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D%95%AD%ED%96%89%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A%B9%80%EC%A4%80%ED%99%98&rft.au=Jun-hwan+Kim&rft.au=%EA%B0%95%EC%A7%80%EC%88%98&rft.au=Ji-sue+Kang&rft.date=2024-12-31&rft.pub=%ED%95%9C%EA%B5%AD%ED%95%AD%ED%96%89%ED%95%99%ED%9A%8C&rft.issn=1226-9026&rft.volume=28&rft.issue=6&rft.spage=879&rft.externalDocID=414649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902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902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902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