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보안성 확보 방안 연구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6; pp. 879 - 88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항행학회
3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9026 |
Cover
Summary: | 기존의 항공안전 관리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스스로 항공안전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가용데이터의 한계에 따라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통합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효과적인 항공안전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과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착시키는 것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현행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항공안전데이터 보안 수준을 지정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조치 및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법령 체계에서 항공안전데이터는 3개 등급으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보안 등급에 따른 접근권한 분리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안전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Existing aviation safety management has been difficult to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ecause individual stakeholders collect and analyze aviation safety data on their own. To implement the ecosystem of aviation safety data,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frastructure is also important, but above all, it is prerequisite to settle foundations and processes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signate aviation safety data security levels based on legal grounds and establish measures and procedures to sharing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viation safety dat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it was confirmed that a method of separating access rights according to each security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laid a detailed foundation for protecting aviation safety data. |
---|---|
Bibliography: |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
ISSN: | 1226-9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