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한국인들의 연대 노력: 소셜미디어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구글검색 기록과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미얀마 민주화운동에 대한 한국인들의 연대노력을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특히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 이런 시민사회의 연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쿠데타 발발 직후에만 검색량이 크게 늘어났던 구글 글로벌 검색 트렌드와 달리, 한국에서는 2021년 상반기 동안 미얀마에 대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에서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트위터 상의 미얀마 민주화 발화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미얀마의...
Saved in:
Published in | 다문화와 평화 Vol. 17; no. 3; pp. 237 - 25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30.12.2023
다문화평화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3.17.3.010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구글검색 기록과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통해 미얀마 민주화운동에 대한 한국인들의 연대노력을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특히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 이런 시민사회의 연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쿠데타 발발 직후에만 검색량이 크게 늘어났던 구글 글로벌 검색 트렌드와 달리, 한국에서는 2021년 상반기 동안 미얀마에 대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에서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트위터 상의 미얀마 민주화 발화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미얀마의 연관검색어로 광주 민주화 운동이 상위권에 올랐는데 광주 민주화 운동의 소환은 뉴스 기사보다 시민들의 발화에서 먼저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발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얀마 현지 상황을 보도한 뉴스보다 한국 정부와 정치인들의 지지 발화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향후 Milk Tea Movement와 같이 사이버 상에서 활발한 아시아 민주화를 위한 연대를 분석하고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상호참조와 연대의 지속가능성을 탐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sed Google search history and social media data to assess the trend of Korean support for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Myanmar. We looked at the elements that affect international civil society's support for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Myanmar in Korea. First, we discovered that, in contrast to Google's global search trends, which indicat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search volume
shortly after the coup, interest in Myanmar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first half of 2021 in South Korea. Second,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South Korean Twitter activity supporting democracy in Myanmar exploded. Third, the recall of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first surfaced in citizen discourse before news publications, and it was the top trending search phrase for Myanmar. Finally, statements of solidarity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oliticians had a greater impact on social media volume than news about the situation on the ground in Myanmar.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cyber-active solidarity for democratization in Asia, such as the Milk Tea Movement, and explore the sustainability of cross-referencing and solidarity across time and space. |
---|---|
Bibliography: | SUNGKYUL UNIVERSITY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3.17.3.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