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여성노인의 태권도 수련이 기능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가정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태권도가 기능적 체력과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방법] 유목적 표집을 통해 16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여 12주간의 태권도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과 이러한 개입이 없는 통제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 중재 전 및 후 평가에 따르면, 태권도 그룹은 기능적 체력과 HRQoL 모두에서 유의한 개선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가 다문화 가정 노인 여성의 기능적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신체활동이 될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5; no. 4; pp. 669 - 678
Main Authors 최재일, Jae-il Choi, 정채원, Tchae-won Jeong, 곽규훈, Kyu-hoon Kwak, 원유미, Yu-mi Won, 김태영, Tae-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가정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태권도가 기능적 체력과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방법] 유목적 표집을 통해 16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여 12주간의 태권도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과 이러한 개입이 없는 통제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 중재 전 및 후 평가에 따르면, 태권도 그룹은 기능적 체력과 HRQoL 모두에서 유의한 개선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가 다문화 가정 노인 여성의 기능적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신체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태권도가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차이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히 다문화 가족 역학의 맥락에서 노인 인구를 위한 신체활동의 이점을 뒷받침하는 증거에 기여한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aekwondo’s impact on functional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older women from South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rough purposive sampling, 16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a 12-week Taekwondo training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out this intervention. RESULTS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showed that the Taekwondo group experienc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functional fitness and HRQ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aekwondo could be an effective physical activity for enhancing the well-being of older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dvocating for inclusion of culturally sensitive physical activities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targeting this demographic.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supporting physical activity’s benefits for elderly populations, particularly in multicultural family dynamics.
ISSN:1598-2920
2233-7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