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카안의 재창조-18세기 티베트-몽골 문헌에서 나타난 몽골제국 통치의 유산

몽골제국과 元代의 유산은 이후 시기의 역사적 기억에서 계속해서 재구성되어갔다. 이러한 유산 중 몽골의 카안과 관련된 티베트-몽골의 관계는 그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몽골 출신 티베트 학승인 쑴빠켄뽀 예셰뻴졸의 일련의 역사저술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몽골 유산이 그 이후 시기에 어떠한 변형을 거쳐 재생·확장되어 갔는지를 살펴본다. 쑴빠켄뽀의 저작 중 불교사 저작인 『빡삼죈장』에서는 몽골 카안을 티베트제국의 제왕인 쩬뽀의 계보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신성성을 부여한다. 『빡삼죈장』에서는 또한 몽골 카안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史叢(사총), 0(115) Vol. 115; pp. 67 - 97
Main Authors 김한웅, Kim Han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5.2025
역사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446
2671-583X
DOI10.16957/sa..115.202505.6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몽골제국과 元代의 유산은 이후 시기의 역사적 기억에서 계속해서 재구성되어갔다. 이러한 유산 중 몽골의 카안과 관련된 티베트-몽골의 관계는 그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몽골 출신 티베트 학승인 쑴빠켄뽀 예셰뻴졸의 일련의 역사저술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몽골 유산이 그 이후 시기에 어떠한 변형을 거쳐 재생·확장되어 갔는지를 살펴본다. 쑴빠켄뽀의 저작 중 불교사 저작인 『빡삼죈장』에서는 몽골 카안을 티베트제국의 제왕인 쩬뽀의 계보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신성성을 부여한다. 『빡삼죈장』에서는 또한 몽골 카안과 티베트 불교 승려들의 관계를 기존의 이해보다 확장시키면서 이들을 종교적 카안으로 만들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쑴빠켄포의 다른 역사저술인 자서전 『다진쮜렌』과 지역사 『총왼기로귀』에서는 18세기에도 몽골 제국시기의 카안의 영광스러운 모습이 다방면으로 재활용되는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쑴빠켄뽀가 살았던 淸시대의 군주인 乾隆帝를 종교적 카안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쑴빠켄뽀의 역사저술은 몽골의 전통과 유산을 티베트 불교문화라는 매개를 통해 윤색·재창조하였으며, 이는 淸朝의 지배체제를 宣揚하는 네러티브로 이용된 것이다. The legacy of the Mongol Empire and the Yuan dynasty continued to be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memory of later periods. Among these legacies, the Tibeto-Mongol relationship concerning the Mongol Khaghan constituted a crucial component in shaping collective identity.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Mongol legacy was transformed, reanimated, and expanded in subsequent times by analyzing a series of historical writings by Sumpa Khenpo Yeshe Paljor, an eighteenth-century Tibetan scholar-monk of Mongol origin. In his Buddhist historiographical work, Dpag bsam ljon bzang (The Wish-Fulfilling Tree), Sumpa Khenpo incorporates the Mongol Khaghan into the royal lineage of the Tibetan Empire (btsan po), thereby imbuing the figure with sacred legitimacy. This text also expands o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 Khaghans and Tibetan Buddhist clerics, portraying them increasingly as “religious khaghans.” In his other historical works-his autobiography and the regional chronicle Annals of Kokonor-we observe multiple cases in which the glorious image of the Mongol imperial Khaghan is reappropriate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se instances ultimately lea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Qing emperor Qianlong with the figure of the religious Khaghan. In short, Sumpa Khenpo’s historiography embellishes and re-creates the Mongol imperial tradition and legacy through the lens of Tibetan Buddhist culture, transforming it into a narrative that legitimizes and glorifies the ruling order of the Qing dynasty.
Bibliography: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ISSN:1229-4446
2671-583X
DOI:10.16957/sa..115.20250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