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공간의 브랜드 감각경험이 감성적 가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의 공간의 감각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배경 모빌리티의 공간의 개념이 주의 집중의 공간에서 업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통한 다양한 경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다양한 브랜드 경험 중 감각경험에 집중하여 모빌리티 환경의 브랜드 감각(시각, 청각, 촉각, 후각)경험이 인게이지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감성적 가치의 매개효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모빌리티 환경의 브랜드 감각경험, 감성적 가치, 인게이지먼트 요인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82; pp. 139 - 148
Main Authors 김태우, Tai-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24.29.1.0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모빌리티의 공간의 개념이 주의 집중의 공간에서 업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통한 다양한 경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다양한 브랜드 경험 중 감각경험에 집중하여 모빌리티 환경의 브랜드 감각(시각, 청각, 촉각, 후각)경험이 인게이지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감성적 가치의 매개효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모빌리티 환경의 브랜드 감각경험, 감성적 가치, 인게이지먼트 요인을 조작정의 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 피 실험물을 선정한 후 변수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진행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탐색적요인 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통계분석을 통한 실증연구 결과 브랜드 감각 경험은 각 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별 인게이지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경험이 감성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경험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성적 가치의 매개효과도 심미성, 상징성, 쾌락성 모든 요인이 유효한 영향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진화하는 모빌리티 시장에 대한 감각경험의 적용에 관한 연구로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감성과 공간에서의 집중과 몰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감각경험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실증을 통해 규명함으로서 학문적, 기업실무적 시사점을 남긴 것에 그 의를 가지며,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모빌리티 환경에 적용되는 감각경험 활용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s the concept of space of mobility changes, the need for various experiences through brand communication is emerging. This study focuses on sensory experiences among these various brand experiences to investigate how brand sense (visual, auditory, tactile, olfactory) experiences in the mobility environment affect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values on them. Method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brand sensory experience, emotional value, and engagement factors in the mobility environment were manipulated and defined, and after selecting the subject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y conducting a survey after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rand sensory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gagement by each sense (visual, auditory, tactile, olfactory), and the effect of sensory experience on emotional value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all factors such as aesthetics, symbolism, and pleasure had an effective influence relationship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value on the engagement of sensory experience. Conclusion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nsory experience to the evolving mobility market, and it is meaningful to leave academic and corporate practic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at individual sensory experience factors must be effectively controlled and used to elicit users' emotions and immersion in space.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24.29.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