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교건축 비전과 설계변화 특징에 관한 연구 - M중학교 신축설계 공모 입상작을 중심으로
연구배경 학교의 물리적 환경은 학생들의 성장과 정서, 인지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장소로, 학생들의 공간 경험 과정을 통해 지식 전달과 생활방식과 그 공간이 내포하는 문화를 익혀,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유연한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공간 혁신과 경기도교육청의 학교건축 비전을 담은 설계 공모 입상작 사례를 중심으로 건축계획 및 설계 특징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학교건축의 디자인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미래교육 공간과 경기도교육청 학교건축 비전에 관해 선행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82; pp. 43 - 5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04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학교의 물리적 환경은 학생들의 성장과 정서, 인지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장소로, 학생들의 공간 경험 과정을 통해 지식 전달과 생활방식과 그 공간이 내포하는 문화를 익혀,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유연한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공간 혁신과 경기도교육청의 학교건축 비전을 담은 설계 공모 입상작 사례를 중심으로 건축계획 및 설계 특징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학교건축의 디자인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미래교육 공간과 경기도교육청 학교건축 비전에 관해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한다. 2. 2023년도 설계 공모에 입상한 경기도교육청 M중학교의 5개 공모안 사례를 중심으로 배치계획, 공간계획, 입면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3. 도출된 특징을 토대로 향후 미래 학교의 학교건축 방향을 제언한다.
연구결과 학생 주도 교육에 필요한 새로운 학교건축은 기존의 정형화된 학교건축에서 탈피하여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습 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혁신되고 있다. 특히 학교와 내·외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소통을 시도하는 경기형 특화사업인 학교숲 계획과 실내광장계획은 신축 시 필수로 적용하여, 다양한 철학과 관점을 가진 창의적 공간을 유도함으로써 지금껏 접하지 못한 독특한 디자인 개념들을 선보이고 있다.
결론 공간혁신은 신축학교뿐만 아니라, 대수선 등 리모델링을 통해 모든 학교에 계획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설계안이 구현되어 학생과 교직원, 지역민에 대한 이용자 평가와 함께 학제적인 관찰과 분석으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school is a place that directly affects students' growth,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school should be a complex and flexible space where knowledge can be transferred, lifestyle and culture implied by the space can be learned, and social life can be led through the process of spatial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direction of school architecture in the future by deriving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ase of winning the design contest containing the vision of school construction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Methods 1.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re reviewed on the future educational space and the vision of school construction at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 Five cases of M Middle School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ich were awarded at the 2023 design contest, will b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layout plans, architectural spatial design, and elevation designs. 3.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architecture design is suggested.
Result It can be seen that new school architecture necessary for student-led education is being innovat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learning form for future education,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tandardized school architecture. In particular, the school forest plan and the indoor plaza plan, which are specialized projects in Gyeonggi-do that actively consider and communicate with school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re essential for new construction. And the design prize proposal presents unique design concepts that never been encountered by inducing creative spaces with various philosophies and perspectives.
Conclusion For spatial innovation, plans should be applied not only to new schools, but also to all schools through remodeling such as large-scale repai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plan will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user evaluation of students, faculty, and local residents will be conducted, and in-depth follow-up research will continue through interdisciplinary observation and analysis.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4.29.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