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 버티포트 환경분석 연구: 장애물 및 기상 중심으로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화에 따라 도심 내 지상 교통망 혼잡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3차원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이 등장하여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도심항공교통 운영에 가장 중요한 인프라 중 하나는 버티포트이며, UAM 기체가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하려면 장애물, 기상 등 버티포트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티포트 주변 장애물 및 기상과 관련 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의 버티포트 후보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6; pp. 819 - 826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항행학회
3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화에 따라 도심 내 지상 교통망 혼잡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3차원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이 등장하여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도심항공교통 운영에 가장 중요한 인프라 중 하나는 버티포트이며, UAM 기체가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하려면 장애물, 기상 등 버티포트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티포트 주변 장애물 및 기상과 관련 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의 버티포트 후보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버티포트 후보지 선정을 위한 검토 시 참고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metropolitan areas, congestion in ground transportation networks in urban areas is worsening. Urban air mobility(UAM), a three-dimensional transportation method,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and is being presented as a solution. Vertipor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rastructures for operating UAM, and in order for UAM aircraft to take off and land safely, analysi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rtiport, such as obstacles and weather, is essentia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riteria for environmental analysis related to obstacles and weather around vertiports,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candidate sites for vertiports in the Jeju island based on these criteria.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serve as a reference guideline for reviewing the selection of candidate sites for vertiports in the future. |
---|---|
Bibliography: |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
ISSN: | 1226-9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