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도덕과 시민교육과 생태 시민성
생태 시민성은 발생적으로는 최근에 새롭게 논의되기 시작한 개념이지만, 논리적으로는 시민성의 범주에 포괄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도덕과의 생태 시민성 관련 학습 주제와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시민교육의 형식과 실질 모두에서 전통적 시민성 즉 민주시민성과 연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 또한 목적 지향적 활동과 처방 지향적 활동이 상보적으로 순환한다는 점에서, 시민교육과 생태 시민성 관련 내용을 현황과 방향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현황에서는 현재 고등학교 도덕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성격과...
Saved in:
Published in | 윤리연구, 1(138) Vol. 138; pp. 119 - 14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윤리학회
30.09.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생태 시민성은 발생적으로는 최근에 새롭게 논의되기 시작한 개념이지만, 논리적으로는 시민성의 범주에 포괄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도덕과의 생태 시민성 관련 학습 주제와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시민교육의 형식과 실질 모두에서 전통적 시민성 즉 민주시민성과 연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 또한 목적 지향적 활동과 처방 지향적 활동이 상보적으로 순환한다는 점에서, 시민교육과 생태 시민성 관련 내용을 현황과 방향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현황에서는 현재 고등학교 도덕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성격과 생태 시민성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성찰하였다. 이어 방향에서는 앞으로 개정하고자 하는 고등학교 도덕과 민주시민교육 개선 내용과 생태전환교육 추진 방안을 비판적으로 음미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의 생태전환교육은 지구 생태 공동체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2015 개정 시기 교육과정의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과 마찬가지로 시민과 공동체와의 관계 및 계열성을 명료화하지 않고 있다. 그로 인해 민주 시민과 생태 시민을 단일 주체로 그리고 국민국가 공동체와 지구 생태 공동체를 하나의 존재로 드러내지 못하고, 그래서 결국 민주시민성과 생태 시민성을 하나의 시민성으로 총괄하지 못한다.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was neoterically begun to discuss in histo-genetic. And then it was included in a category of citizenship that means not a civil rights but a civic attitudes or civil virtues. So ecological citizenship thematics and content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civic education in high school moral subject curriculum.
An objection-oriented activity and a prescription-oriented activity were circularly and complementari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herefore we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civic educations and cont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in high school moral education from a present and a future viewpoints each other. First, in a present viewpoint, we reflected totally and synthetically both the substances of civic education and the thematic details of ecological citizenship those have been in forced. And, in a future viewpoint, we critically considered both improved contents for civic education and progress plan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ose would be in forced.
The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jects of progress plans will deal with the problems of global system as an unique ecologic community. Nevertheless, those are not clarified the hierarchies and connections between civic and community likewise environmental-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present plans. So that, we could not able to reveal the sameness of a subjectivity between democratic citizen and ecologic citizen. And than we could not able to generalize the ident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ecological citizenship as a whole citizenship. |
---|---|
Bibliography: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ISSN: | 2982-5121 2982-5334 |
DOI: | 10.15801/je.1.138.202209.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