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末의 중서우승상 也速 그리고 그의 아들 관동
본 논문에서는 원 제국 말기의 중서우승상 이수(也速)의 정치·군사적 행보를 중심으로, 그가 원말명초 격동의 정국 속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수는 케식 출신으로 황실의 신임을 받아 홍건적 세력의 진압과 대명 방어전의 최전선에 투입되었고, 특히 대도, 요서, 산동을 아우르는 광범한 지역에서 군사적 활약을 통해 원 제국 조정의 존속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비록 대도로부터 달아난 이후의 일이기는 하지만, 이수는 혜종으로부터 梁王이라는 왕호를 부여받을 정도로 정치적 비중이 컸던 인물이었다. 이수의 활약은 원 제국이 ⼤都...
Saved in:
Published in | 史叢(사총), 0(115) Vol. 115; pp. 41 - 6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5.2025
역사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446 2671-583X |
DOI | 10.16957/sa..115.202505.41 |
Cover
Summary: | 본 논문에서는 원 제국 말기의 중서우승상 이수(也速)의 정치·군사적 행보를 중심으로, 그가 원말명초 격동의 정국 속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수는 케식 출신으로 황실의 신임을 받아 홍건적 세력의 진압과 대명 방어전의 최전선에 투입되었고, 특히 대도, 요서, 산동을 아우르는 광범한 지역에서 군사적 활약을 통해 원 제국 조정의 존속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비록 대도로부터 달아난 이후의 일이기는 하지만, 이수는 혜종으로부터 梁王이라는 왕호를 부여받을 정도로 정치적 비중이 컸던 인물이었다.
이수의 활약은 원 제국이 ⼤都를 상실한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으며, 1377년까지 명과의 전투에 참여한 기록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후 그의 활동은 확인되지 않으며, 그를 계승한 후손들의 존재는 오랫동안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管童/觀童이라는 인물이 이수의 아들이라는 점을 확인하면서 차후의 새로운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관동은 나하추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명에 귀부하여 영평위 지휘가 되었고, 이때 명에 사신으로 파견된 권근과 만났던 것이다. 또한, 홍무 23년(1390)에 실시된 몽골 정벌에도 출정하였다. 이는 이수 가문이 원명교체의 격변을 거치면서 일정한 정치적·군사적 활동을 유지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수와 관동 부자의 사례는 단순한 개인 전기의 차원을 넘어서, 원명교체기 북방 정치세력의 구성과 재편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요동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군사적 움직임과 명으로의 귀속 과정은 당시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의 한 측면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향후에는 이수 가문의 활동 범위와 그 영향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고찰과 함께 북원 측의 여러 세력 연구와의 연계를 통해 보다 풍부한 역사적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olitical and military activities of Yisü(也速), the Right Chancellor of Central Secretariat(中書右丞相) during the late Yuan Dynasty, focusing on his role amid the turbulent transition from the Yuan to the Ming. As a member of the imperial guard(kešig), Yisü gained the trust of the imperial court and was deployed to the front lines in suppressing the Red Turban rebels and defending against the advancing Ming forces. Notably, his military activities spanned a wide region including Dadu(⼤都), Liaoxi(遼⻄), and Shandong(山東),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Yuan court. Although he eventually retreated from Dadu, Yisü was still granted the royal title of Prince of Liang(梁王) by Emperor Huizong(惠宗), reflecting his considerable political stature.
Yisü’s efforts continued even after the loss of Dadu, with records indicating his participation in battles against the Ming as late as 1377. However, his subsequent activities remain unverified, and the identities of his descendants remained unclear for a long time.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figure of Guantong(管童/觀童) as Yisü’s son, thereby laying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Guantong served under Nahaču before surrendering to the Ming, where he was appointed commander of Yingping Guard(永平衛). During this time, he also encountered the Goryeo envoy Gwon Geun(權近). Furthermore, he participated in the Mongol campaign conducted in the 23rd year of the Hongwu(洪武) reign(1390). These details provide crucial evidence that the Yisü family continued to play a certain political and military role through the upheaval of the Yuan-Ming transition.
The case of Yisü and his son Guantong offers insight beyond that of individual biography. It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nd reorganization of northern political forces during the Yuan-Ming transition. In particular, the military movements centered around the Liaodong(遼東) region and the process of allegiance to the Ming reveal one facet of the international dynamics in Northeast Asia during that period. In the future, a more detailed study of the scope and influence of the Yisü family’s activities, in conjunction with research on other Northern Yuan factions, may offer a richer and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
---|---|
Bibliography: |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
ISSN: | 1229-4446 2671-583X |
DOI: | 10.16957/sa..115.202505.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