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교차로 내 노면색깔유도선의 사고감소 효과분석
노면색깔유도선은 2011년 고속도로 구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분기점 및 평면교차로에서 운전자에게 명확한 주행 경로를 제공하고, 차량 간의 상충을 최소화하여 안전 운전을 촉진하기 위한 시설이다. 본 연구는 일반도로 평면교차로에 설치된 색깔노면유도선의 사고감소 효과를 사전ㆍ사후 비교법 및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의 노면색깔유도선이 설치된 교차로 22개소를 실험군으로 선정하고, 노면색깔유도선이 설치되지 않은 교차로 70개소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사전ㆍ사후 기간을 각각 3년으로 설정 후 사고데이터 변화를...
Saved in:
Published in | 교통안전연구 Vol. 43; no. 1; pp. 155 - 17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도로교통공단
30.06.2024
도로교통공단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8741 2671-6291 |
DOI | 10.22940/TSR.2024.43.1.155 |
Cover
Loading…
Summary: | 노면색깔유도선은 2011년 고속도로 구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분기점 및 평면교차로에서 운전자에게 명확한 주행 경로를 제공하고, 차량 간의 상충을 최소화하여 안전 운전을 촉진하기 위한 시설이다. 본 연구는 일반도로 평면교차로에 설치된 색깔노면유도선의 사고감소 효과를 사전ㆍ사후 비교법 및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의 노면색깔유도선이 설치된 교차로 22개소를 실험군으로 선정하고, 노면색깔유도선이 설치되지 않은 교차로 70개소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사전ㆍ사후 기간을 각각 3년으로 설정 후 사고데이터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3지 교차로 구간에서는 시설물 설치 후 사고 위험이 증가하였으나, 4지 교차로와 5지 교차로에서는 사고 건수와 사상자 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5지 교차로에서는 사고 건수 31.8%, 사망 및 중상자 수 39.2%로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95% 신뢰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 수를 늘려 교차로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비교그룹 법과 경험적 베이즈 방법 등을 적용하여 효과분석의 신뢰성을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Color Guide Markings (CGM), introduced on expressways in 2011, aim to improve road safety by clarifying driving paths and reducing vehicle conflicts. This study evaluated the crash reduction effectiveness of CGMs at the at-grade intersections in Seoul using before-and-after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The treatment group included 22 intersections with CGMs, while the control group included 70 intersections without CGMs. The before and after periods were set to three years each forcrash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GMs at three-leg intersections led to an increase in crash risk. However, a substantial decrease in the number of crashes and casualties was observed at the four-leg and five-leg intersections. At five-leg intersections, a 31.8% reduction in crashes and a 39.2% reduction in deaths and serious injuries were recorded.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ample size of each intersection type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the results. Additionally,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effect of CGMs should be further validated through comparison group methods and empirical Bayesian approaches. |
---|---|
Bibliography: | KoROAD https://www.koroad.or.kr/main/research/res_safe_list.do |
ISSN: | 1225-8741 2671-6291 |
DOI: | 10.22940/TSR.2024.43.1.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