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표면의 탈리 진행에 따른 골재영역 및 마모도 변화 분석

도로 표면의 골재 영역과 마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최신 이미지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로표면에서의 골재 영역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골재 영역 정보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그와 연관된 마모도 변화를 선형회귀 분석 모델로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골재 영역의 감소는 마모도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 등급의 도로표면은 더 많은 골재 영역을 보유하며 동시에 낮은 마모도를 가지는 반면, 하 등급의 도로표면은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로 품질 관리와 보수 전략의 새로운 방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통안전연구 Vol. 42; no. 2; pp. 113 - 130
Main Authors 김연태, Kim Yeon Ta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도로교통공단 31.12.2023
도로교통공단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8741
2671-6291
DOI10.22940/TSR.2023.42.2.11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도로 표면의 골재 영역과 마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최신 이미지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로표면에서의 골재 영역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골재 영역 정보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그와 연관된 마모도 변화를 선형회귀 분석 모델로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골재 영역의 감소는 마모도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 등급의 도로표면은 더 많은 골재 영역을 보유하며 동시에 낮은 마모도를 가지는 반면, 하 등급의 도로표면은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로 품질 관리와 보수 전략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3차원 프로파일을 통한 정밀한 평가를 바탕으로 보다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도로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Cutting-edge image analysis techniques were employed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aggregate area on the road surface,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gregate road surface area and wear. This aggregate area information was adop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ased on this, the changes in wear were predicted using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an increase in the aggregate area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wear. Notably, roads of higher grades possess a larger aggregate area and, simultaneously, exhibit less wear; in contrast, roads of lower grades show the opposite trend. These research outcomes suggest new directions for road quali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strategies. In particular, with the precise evaluation using 3D profiling, more strategic and efficient pavement management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easible.
Bibliography:KoROAD
https://www.koroad.or.kr/main/research/res_safe_list.do
ISSN:1225-8741
2671-6291
DOI:10.22940/TSR.2023.42.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