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가 인식하는 한국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의 성격 연구 - 루시, 한유아, 로지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성격은 에이전트의 인식, 상호 작용의 만족도 및 지속적인 상호 작용의 욕구 등 사용자 경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상 인간 특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가 인식하는 개별적 개성과 관련된 성격 분석에 있어서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국내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들에 대한 성격 차이 인식을 분석하고 성격 디자인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응답자들에게 선별된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계정을 자유롭게 탐색하게 했다. 둘째,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 Five-Factor 모델과 Völ...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83; pp. 87 - 10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5.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배경 성격은 에이전트의 인식, 상호 작용의 만족도 및 지속적인 상호 작용의 욕구 등 사용자 경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상 인간 특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가 인식하는 개별적 개성과 관련된 성격 분석에 있어서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국내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들에 대한 성격 차이 인식을 분석하고 성격 디자인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응답자들에게 선별된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계정을 자유롭게 탐색하게 했다. 둘째,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 Five-Factor 모델과 Völkel의 인공지능 성격 모델에 기반한 양극단형 리커트 7점 척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99명의 설문 응답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IBM SPSS를 활용하여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FGI)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Five-Factor 모델의 성격에 대한 인식 차이는 ‘친화적인' 성격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요소에서 나타났다. 또한, Völkel의 인공지능 모델의 성격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은 열 가지 성격 중 다섯 가지 성격에 대해 차이를 인식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개성의 일관성과 정체성, 개인화, 불쾌한 골짜기의 주제로 정리되었다.
결론 첫인상의 중요성, 비인간 혹은 인간과의 유사성이 덜한 가상 인물의 개발, 다양한 매체 유형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 등을 제안한다.
Background Person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 experience, including perception of the agent,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and desire for continued interaction. Research on virtual human traits has been lacking in analyzing personality as it relates to individual personality as perceived by us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sonality difference perception of Korean virtual human influencers among Instagram users in their 20s and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personality design.
Methods First, respondents were shown a selection of Instagram images and allowed to browse the accounts freely. Second, a bipolar 7-point Likert scale survey based on the Five-Factor Model and Völkel's AI Personality Model was administered to assess personality. Thir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99 survey responses. Finall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Five-Factor Model's personality were found in all personality factors except for ‘Friendly.' Furthermore, regarding Völkel's AI model, respondents noted personality differences in five out of ten personality traits. Focus group interviews highlighted themes such as personality consistency and identity, personalization, and the Uncanny Valley.
Conclusion Suggestions include the importance of first impressions, the development of non-human or less human-like virtual characters, and consistent management across different media types.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