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화
목적: 본 연구는 현장 수요 기반 진단도구의 개선 및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선정을 체계화를 지원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집중적으로 진단하고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할 수 있는 문해력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내용: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 절차를 밝히고, 평가틀 구성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유형은 서사 텍스트와 정보 텍스트로 나누고, 정보 텍스트는 크게 4개의 주제 분야로 개발하였다. 진단검사의 모든 문항은 텍스트(지문)를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학년별 검사지의 텍스트 수는 10개로 통일하였다. 정답률, 변별도...
Saved in:
Published in | 독서연구 Vol. 71; pp. 163 - 191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독서학회
31.05.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24.71.5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현장 수요 기반 진단도구의 개선 및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선정을 체계화를 지원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집중적으로 진단하고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할 수 있는 문해력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내용: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 절차를 밝히고, 평가틀 구성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유형은 서사 텍스트와 정보 텍스트로 나누고, 정보 텍스트는 크게 4개의 주제 분야로 개발하였다. 진단검사의 모든 문항은 텍스트(지문)를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학년별 검사지의 텍스트 수는 10개로 통일하였다. 정답률, 변별도, 신뢰도 등의 결과 분석 자료를 근거로 최종 1배수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서 예비검사를 시행하였다. 대도시 2개 학교, 중소도시 1개 학교를 표집하여 A, B 세트를 학급별로 나누어 적용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능력의 기초가 부족한 학습자를 선별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하는바, ‘기초’, ‘기초 미달’의 두 개 수준으로 구분하고 두 수준을 구분하는 학년별 준거 점수를 산출하였다. 의의: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문해력 진단도구를 다양화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teracy diagnostic tool that can focus on reading skill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to improve local needs-based diagnostic tools, and systematize the selection of students for learning support. Content: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literacy diagnostic tool is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ssessment framework is presented. Texts were divided into narrative and informational types. The informational texts were then categorized into four main subject areas. All questions in the diagnostic test are based on texts (passages), with a unified number of 10 texts per grade. To select the final items, including analysis of factors such as correct answer rate, variance, and reliability,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in two schools in a large city and one school in a medium-sized city. The results of Sets A and B were categorized into classes and described. Si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earners lacking basic reading skills and provide them with necessary information, learn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levels: “basic” and “below basic.” A cutoff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grade level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levels. Significance: This study diversifies the literacy diagnostic tools available to systematically assess learners‘ reading skills and provide customized support.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7095/JRR.2024.71.5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24.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