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인의 기초체력 향상 프로그램이 신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기초체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되었으며,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여 체력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효과크기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모든 체력 요소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근력과 근지구력에서 큰 향상(t = 5.3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6; no. 2; pp. 163 - 177
Main Authors 김명미, Kim Myung-m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5.6.2.1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기초체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되었으며,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여 체력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효과크기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모든 체력 요소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근력과 근지구력에서 큰 향상(t = 5.32, p < 0.001)이 관찰되었다. 근력과 근지구력 간에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r = 0.75, p < 0.001)가 확인되었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두 요소는 삶의 질(QOL)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 0.450, p < 0.001). 효과크기 분석에서는 근력(Cohen’s d = 0.85)이 큰 효과를, 심폐지구력과 유연성은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결론: 지적장애인을 위한 체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적 기능뿐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 효과에 대한 검토와 대상자 특성에 맞춘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basic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e the pre- and post-program changes in muscle strength,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flexibility. Methods: The program was conducted over a 12-week period with 50 adult particip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hysical fitness was assessed using standardized tests for muscle strength,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flexibility. Paired t-test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ffect siz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all physical fitness domains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howed the largest increase (t = 5.32, p < 0.001).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r = 0.75, p < 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ignificantly predicted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B = 0.450, p < 0.001). Effect size analysis showed a large effect for muscle strength (Cohen’s d = 0.85) and moderate effects for both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flexi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enhance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overall quality of life.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the long-term benefits and develop tailored exercise interventions.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5.6.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