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훈련의 조절효과 분석

그동안 혁신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런데, 혁신행동은 결국 조직 구성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발휘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볼 때, 업무요인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요인의 핵심으로서 업무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교육훈련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직생활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가정책연구 Vol. 39; no. 1; pp. 111 - 140
Main Authors 김무영, Mooyoung Kim, 노종호, Jongho R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30.03.2025
국가정책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그동안 혁신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런데, 혁신행동은 결국 조직 구성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발휘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볼 때, 업무요인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요인의 핵심으로서 업무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교육훈련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의 2023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47개 중앙행정기관, 17개 광역자치단체, 226개 기초자치단체 본청 소속 일반직 공무원 중에서 층화집락추출방법을 통해 추출된 6,444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업무요인으로서 업무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 모두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자율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교육훈련이 양자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업무수행역량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육훈련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연령, 직급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 연령이 높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혁신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학력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첫째, 공무원들에게 자기 책임하에 권한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구성원들이 자율성의 바탕 하에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심감을 가지고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높이기 위한 노력 또한 중요하다. 특히 구성원 스스로 창의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인 창의적 자기효능감(creative self-efficacy)을 가질 때 혁신행동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수행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통해 업무수행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맞춤형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훈련이 업무자율성과 공무원의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업무성과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공무원들의 창의성을 유발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ve behavior. Considering that innovative behavior is ultimately conducted by organizational members using new ideas and creativity to solve given problems during the work process, it cannot be denied that work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work autonomy and work competency as core work factors on public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 trai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2023 data from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s the analysis subject, and selected 6,444 general public employees from 47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226 basic government headquarters through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s a sampl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work factors on public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trai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work factors, both work autonomy and work competen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public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Second, education training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at further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utonomy and public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However, education trai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competency and innovative behavior. Lastly, among the control variables, gender, age, and 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innovative behavior increases more in men than in women, and in older age and in higher positions. However, educational backgroun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public employees to perform their work autonomously with authority under their own responsibility.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perform successfully their work. Seco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novative behavior of public employe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work competency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ir work competency capabilities through effici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Lastly, considering the fact that education training have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the innovative behavior of public employe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can provide more practical help in improving work and develop the creativity of public employees.
Bibliography:Institute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ISSN:1738-8848
2713-6280
DOI:10.17327/ippa.2025.39.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