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아동의 자기결정성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81명이었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온정이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학교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자기결정성 전체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양육행동을 보일 경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방임이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3; no. 2; pp. 163 - 18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1.05.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3.2.4 |
Cover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