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아동의 자기결정성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81명이었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온정이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학교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자기결정성 전체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양육행동을 보일 경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방임이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3; no. 2; pp. 163 - 18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1.05.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81명이었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온정이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학교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자기결정성 전체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양육행동을 보일 경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방임이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결정성 중 학교와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가 아동의 정적 안녕감을 증가시켰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부적 안녕감을 낮춰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아동의 자기결정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본 결과, 양육행동의 논리적 설명, 온정, 개입이 아동의 정적 안녕감을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부적 안녕감에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을 자기결정성이 완전 매개하였고, 방임은 매개효과는 없으나 직접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아동의 자기결정성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을 연구함에 있어 아동의 입장이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고, 아동상담 및 부모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tating effects of child self-deter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 happiness as perceived by children. Child happiness is defined as the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based on a giv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181 children from the 5 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I-c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mothe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on a child’s self-determination, and the reasoning and warmth among mother parenting behaviors both positively affected all sub factors. In particular, the opportunity for self-determination in school was found to increase when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used by mothers. Neglect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opportunities in the home was a low factor. Secon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mongst childre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self-determination opportunities in school and at home explained the positive well-being results. Moreover, self-determination opportunity in the home was a factor which could lower feelings of negative well-be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self-deter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reasoning, warmth, and the intrusiveness of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both found to be mediated completely by self-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positive well-being. Additionally, self-deter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ly in terms of the warmth of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whilst neglect has no mediating effect but has a direct influ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elf-determination was discussed.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