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녀 양육 조부모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 접근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를 양육하는 조부모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가족탄력성 이론을 적용한 조부모 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노인에게 자아존중감, 우울감, 양육 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윌콕슨 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사전조사=27.1, 사후조사=30.8), 우울감(사전조사=14.1, 사후조사,8.9), 양육스트레스(사전조사=71.2, 사후조사=68.8)...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37; no. 2; pp. 223 - 245
Main Authors 윤현주, Hyun Joo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1.12.2020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37.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를 양육하는 조부모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가족탄력성 이론을 적용한 조부모 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노인에게 자아존중감, 우울감, 양육 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윌콕슨 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사전조사=27.1, 사후조사=30.8), 우울감(사전조사=14.1, 사후조사,8.9), 양육스트레스(사전조사=71.2, 사후조사=68.8)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이론을적용한 조부모 역할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grandparents role adaptation support program that raised grandchildren.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in 23 older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grandparent role adaptation support program applying the family resilience theory. The PI developed and implemented a 10-session grandparent program. Wilcoxon’s signed ranks tests showed that the grandparent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mental health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in selfesteem at pretest(M=27.1) and posttest(M=30.8); depressive symptoms at pretest(M=14.1) and posttest(M=8.9); parenting stress at pretest(M=71.2) and posttest(M=68.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erontological practice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3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