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조절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의 정서조절력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생 13명(남학생 8명, 여학생 5명)이다. 사이코드라마는 매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사이코드라마 실시하기 전·후에 청소년 정서조절 능력 척도 및 자기행동 평가 척도(K-YSR)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력 능력은 사전,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문제행동은 사이코드라마 실시 전보다 후에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나 위축행동영역에서 유의미하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 20; no. 2; pp. 21 - 32
Main Authors 고강호, Kang Ho K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3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313X
2383-9376
DOI10.17962/kjp.2017.20.2.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의 정서조절력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생 13명(남학생 8명, 여학생 5명)이다. 사이코드라마는 매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사이코드라마 실시하기 전·후에 청소년 정서조절 능력 척도 및 자기행동 평가 척도(K-YSR)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력 능력은 사전,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문제행동은 사이코드라마 실시 전보다 후에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나 위축행동영역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코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조절력 능력향상 및 문제행동수준을 낮추는데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의의가 있으며 긍정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sycho drama on emotional control and problem behavior of youths at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13 junior high school students (8 boys and 5 girls) who visits community child center in J area. Psycho drama is performed once a week for two hours, total of 10 times. As a result of conducting youth emotional control ability index and youth self behavior evaluation index (K-YS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bility. Problem behavior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performing psycho drama while there if no significance found in withdrawn behavior area. This result indicates that psycho drama improves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youths at community child center while reducing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promising a possibility of this research to be positively utilized in further studies.
ISSN:1229-313X
2383-9376
DOI:10.17962/kjp.2017.20.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