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하는 시선’으로 피그말리온 효과 다시보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감을 그 대안으로 삼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공감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논의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교육의 가능성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감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다시 논의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피그말리온 효과를 상호 간의 시선이 빚어내는 공감의 효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 시선의 얽힘을 통한 공감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해서 메를로-퐁티의 ‘상호신체성’을 차용할 것이며, 그와는 다른 축에서 시선을 이해하는 사르트르의 대자존재를 논하고자 한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26) Vol. 126; pp. 259 - 280
Main Authors 김은미, Kim Eunm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9.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감을 그 대안으로 삼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공감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논의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교육의 가능성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감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다시 논의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피그말리온 효과를 상호 간의 시선이 빚어내는 공감의 효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 시선의 얽힘을 통한 공감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해서 메를로-퐁티의 ‘상호신체성’을 차용할 것이며, 그와는 다른 축에서 시선을 이해하는 사르트르의 대자존재를 논하고자 한다. 그래서 우리 자신을 공감하는 주체로 볼 때, 도덕교육의 가능성이 비로소 논의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many discussions on empathy as the solution for social problems, but it's not considered an essential approach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We should not treat empathy as the solution for contemporary issues, but rather as an opportunity for moral education. In this context, people who can empathize with each other are at the center of the discourse. In this approach, the Pygmalion effect is interpreted a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Furthermore, the chiasme of vision is engendered in the sense of being oriented towards the world(être au monde). In fact, the idea of existing for others(être-pour-autrui) of Sartre, is contrasted with the subject of Merleau-Ponty. Through this process, we can extend our vision to encapsulate the potential for empathy.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26.201909.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