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타일 분야의 소규모 창업 사례 현황 분석

연구배경 소규모의 창업 형태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정부의 지원에 따라 2013년을 기점으로 큰 증가세를 보이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노동 형태로 각광받았다. 이러한 사업 형태는 고품질 소량 생산을 추구하는 장식 공예에서부터 시작된 텍스타일 산업과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소규모 기업의 폐업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텍스타일 분야의 소규모 창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앞으로 본 분야의 소규모 창업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3년부터 5년간 창업한 텍스타일 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61; pp. 129 - 138
Main Authors 김재윤, Jae-yoon Kim, 한왕모, Wang-mo Han, 김선미, Sun-me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1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소규모의 창업 형태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정부의 지원에 따라 2013년을 기점으로 큰 증가세를 보이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노동 형태로 각광받았다. 이러한 사업 형태는 고품질 소량 생산을 추구하는 장식 공예에서부터 시작된 텍스타일 산업과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소규모 기업의 폐업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텍스타일 분야의 소규모 창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앞으로 본 분야의 소규모 창업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3년부터 5년간 창업한 텍스타일 관련 분야의 1인 및 소규모 기업을 핸드메이드 페어와 공예 트렌드 페어, 온라인 자료를 통해 조사하여 사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기업들을 기법, 아이템, 사업 유형 별로 분류하여, 텍스타일 분야의 소규모 창업 유형과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텍스타일 기법의 혼용을 통한 독창적 기법 개발이 더욱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며, 제품 개발과 더불어 DIY키트, 재료 판매, 교육의 카테고리를 겸하여 사업을 유지하는 것이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분석하였다. 또한 반려동물 시장과 같은 현재 활성화 되고 있는 시장에 대한 본 분야의 창업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 텍스타일 분야의 소규모 창업에는 다양한 기법의 혼용을 통한 독창적 기법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창의적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재료나 DIY를 할 수 있는 키트의 판매, 교육 등을 겸한 형태가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회자되는 지속가능성의 추구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Recently, the traditional industrial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changes are presenting as new business types such as small start-ups. The textile field is a developed industry based on crafts, and is suitable for businesses seeking high-quality & small-scale production. In 2013, a similar small-scale entrepreneurial activity has been increased with the passing of the law on one-person creative enterprise, thus, the study was started to be consider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ype of small-scale start-ups in textile field. Methods The period of the study was set as the last five years from 2013 to 2018 when the law was enforced, and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companies that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handmade fair and craft trend fair mentioned above and the companies surveyed on-line, select 35 enterprise cases, classify them into textile techniques, items and business types. Result As a result,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unique technique through mixing of textile techniques, and it will be acting as positive for sustainable business to maintain business by combining product development with DIY Kits, Material Sales, and Educational Category. Also, it wa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is field in the present activating market, such as the pet animal market, would be possible. Conclusion Small businesses in the textile sector need to develop creative techniques by mixing various techniques and developing creative products by applying them. Along with this, sales of kits that can do materials or DIY will also serve as a way to maintain business. It is also believed that a positive assessment can be gained in the pursuit of sustainability, which is currently being addressed in a variety of fields.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8.23.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