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그동안 실시한 공공데이터 정책은 개방 및 이용 건수는 증가되고 있으나 실제 비즈니스로 연계하는 개발 및 활용 건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상호운영성에 부합되는 오픈API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둘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가정책연구 Vol. 31; no. 2; pp. 57 - 82
Main Authors 김구, Gu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30.06.2017
국가정책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848
2713-6280
DOI10.17327/ippa.2017.31.2.003

Cover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그동안 실시한 공공데이터 정책은 개방 및 이용 건수는 증가되고 있으나 실제 비즈니스로 연계하는 개발 및 활용 건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상호운영성에 부합되는 오픈API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둘째, 기계 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에서 최소요건에 해당되는 문자형태의 데이터가 많아 활용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수 점, 셋째, 민간부문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분야와 개방공공데이터의 분야가 부정합(mismatching)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책설계 및 발전방안으로서 첫째,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및 생태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 둘째, 공공데이터 개방분야 목록의 세부적인 구분, 셋째, 공공데이터 개방 프로세스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with the viewpoint of process evaluation on the actual state of public data open policy focusing the public data portal (www.data.go.kr) in Korea.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 types of open data, technical types for data sharing,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and the use and utilization year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nderstood that the number of open public data increase but not hig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ases linked to the actual business.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Open API is relatively small. Second, this data may be barriers to utilization because it consists of lett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quirements in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Third, the open data and the demand of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mismatching. The policy design and development plan on the public data openness is suggested as systematic management of quality and ecology of public data,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open data list, customer oriented implementation process of open public data.
AbstractLis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그동안 실시한 공공데이터 정책은 개방 및 이용 건수는 증가되고 있으나 실제 비즈니스로 연계하는 개발 및 활용 건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상호운영성에 부합되는 오픈API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둘째, 기계 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에서 최소요건에 해당되는 문자형태의 데이터가 많아 활용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수 점, 셋째, 민간부문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분야와 개방공공데이터의 분야가 부정합(mismatching)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책설계 및 발전방안으로서 첫째,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및 생태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 둘째, 공공데이터 개방분야 목록의 세부적인 구분, 셋째, 공공데이터 개방 프로세스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with the viewpoint of process evaluation on the actual state of public data open policy focusing the public data portal (www.data.go.kr) in Korea.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 types of open data, technical types for data sharing,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and the use and utilization year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nderstood that the number of open public data increase but not hig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ases linked to the actual business.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Open API is relatively small. Second, this data may be barriers to utilization because it consists of lett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quirements in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Third, the open data and the demand of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mismatching. The policy design and development plan on the public data openness is suggested as systematic management of quality and ecology of public data,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open data list, customer oriented implementation process of open public data.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 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 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그동안 실시한 공공데이터 정책은 개방 및 이용 건수는 증가되고 있으나 실제 비즈니스로 연계하는 개발 및 활용 건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 다. 그 이유로는 첫째, 상호운영성에 부합되는 오픈API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둘째, 기계 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에서 최소요건에 해당되는 문자형태의 데이터가 많아 활용하는데 장 애요인이 될 수 점, 셋째, 민간부문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분야와 개방공공데이터의 분 야가 부정합(mismatching)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 책설계 및 발전방안으로서 첫째,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및 생태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 안 마련, 둘째, 공공데이터 개방분야 목록의 세부적인 구분, 셋째, 공공데이터 개방 프로세스 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with the viewpoint of process evaluation on the actual state of public data open policy focusing the public data portal (www.data.go.kr) in Korea.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 types of open data, technical types for data sharing,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and the use and utilization year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nderstood that the number of open public data increase but not hig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ases linked to the actual business.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Open API is relatively small. Second, this data may be barriers to utilization because it consists of lette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quirements in machine-readable format recommendations. Third, the open data and the demand of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mismatching. The policy design and development plan on the public data openness is suggested as systematic management of quality and ecology of public data,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open data list, customer oriented implementation process of open public data. KCI Citation Count: 3
Author Gu Kim
김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구
– sequence: 2
  fullname: Gu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014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djL9Lw0AcxQ-pYK39C7pkdUi8u--ld-dWij8KBUE6G5K0JyHalmRyq1AHEakOxSWFCi5Ch0grOPgXpZf_wWCdhAcP3vu8t4tK_UG_h1CNYItwoPwgGA5di2LCLSAWtTCGLVSmnIBZpwKXULnAhCkEEzuoGseBhxkrEixkGV1ky89C68dUz1b5ODWyNFmn73o-1R93-uXJyFajfJoY-eQ-S0d6fmtky7lO00Pj3zCfLPLxl56NDf32rB8WOvlevyZ7aFu5V3Gv-ucV1Dk-6jRPzfbZSavZaJuhzYSphM_duvK7PqXEx77tgqxzDIowBRi8rhQScx-6NmYukVDUPaWYRyS2iacwVND-5rYfKSf0A2fgBr9-OXDCyGmcd1oOAck4FQVb27BhEMfOMAqu3ejGAZsKggF-AChagbk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7327/ippa.2017.31.2.003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Public Data Opening Policy: Focused on Public Data Portal
EISSN 2713-6280
EndPage 8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94728
352810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48-f8c7a6fcdc221c0c5a396703f14f303bd98907c3d504a193a39eff4b19051bf03
ISSN 1738-8848
IngestDate Tue Nov 21 21:32:00 EST 2023
Fri Jan 03 02:11:43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8-f8c7a6fcdc221c0c5a396703f14f303bd98907c3d504a193a39eff4b19051bf03
Notes Institute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PageCount 2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94728
kiss_primary_352810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7
  text: 2017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국가정책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국가정책연구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국가정책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name: 국가정책연구소
SSID ssib044738089
ssib002802704
Score 1.6257945
Snippe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실태를 과정평가 관점에서 공공데이터포 털(www.data.go.kr)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내용은 개방데이터의 유형, 데이 터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적 유형, 기계판독이 가능한 권고사항, 그리고 연도별 이용 및 활 용 실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7
SubjectTerms Big Data
Data Quality
Government 3.0
Open Data
Public Data
개방데이터
공공데이터
데이터 품질
빅데이터
정부3.0
정책학
Title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810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0143
Volume 3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국가정책연구, 2017, 31(2), , pp.57-8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NQMKzrxYsoq7h-EcR3Cqn5eEne85akXVdlvVhhT4YkTaQU21LbiwdZoR5EZPWweOlCBS_CHiK7ggd_UZv-B-e9vrax3YMrhHSYzJs3byZhZtLJPEm6q5mWHeGYqGGNpCo2EqyGNDLUxIriEPChxrfp3Hlibz_Dj3at3bVzTwtVS71uVIpfn_pdyf9YFXBgV_aV7BksO2cKCIDBvnAGC8P5n2yMKi7yTORZBcBDpIw8DVV8RAHAqFJGBANG4UQaoj4jAsCljMgFjMUAT0eEA9RBVFBjVggBDICC-gpntYUIFZyIJhgQXRESuBwF1-AwXeVMAgr2rj_DEEFDsMInwojqDCAeJ_LZUjy-GlcHuBhn8_ks5JaXRV1dK5t4Sjx_YcwRlA9auvKgpzyuvyy-KtHndX3i5v5LVKY4ytfsF1RJBd-Zms8sKNeCDUwLPsUBn0LItKHozOkI11cv5P5TDzJt173i2BzTYP-t19tt1ixLd0qmXmKtZs2FH59XV7KGPTrrgHvecBxeu7DzplLIsTXDWeTgGIN4Gt8qci6o6M7F5ry3OiMEL5DbvIJgrNlJC8FY9ZJ0UWRRsjt9JC5La43WhvR8dPwTjvHHLD88mfQzeZQNxtn3fHiQ_3iXf_kkj072JgcDebL_fpTt5cO38uh4mGfZfXlp4GT_aNL_lR_25fzb5_zDUT74Pf46uCJVtypVf1sV24eoDUjD1ZTETmincS02DD3WYis0qQ3-LdVxCnFbVKOEak5s1iwNh5DGwOUkTXGks451UaqZV6X1ZquZXJPkEKJsQo3IiFIDWwDqsZEkrEA0YiUQ9qa0wTQStKcNYgJhgE3pDmgoaMT1gDVxZ78vWkGjE0Cq-jCA1As7Brl--tgb0oXFHXxTWu92esktCH-70W1uzj9aho30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B5%EA%B3%B5%EB%8D%B0%EC%9D%B4%ED%84%B0+%EA%B0%9C%EB%B0%A9%EC%A0%95%EC%B1%85%EC%97%90+%EA%B4%80%ED%95%9C+%ED%8F%89%EA%B0%80%EC%A0%81+%EA%B3%A0%EC%B0%B0%3A+%EA%B3%B5%EA%B3%B5%EB%8D%B0%EC%9D%B4%ED%84%B0%ED%8F%AC%ED%84%B8%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5%AD%EA%B0%80%EC%A0%95%EC%B1%85%EC%97%B0%EA%B5%AC&rft.au=%EA%B9%80%EA%B5%AC&rft.au=Gu+Kim&rft.date=2017-06-30&rft.pub=%EC%A4%91%EC%95%99%EB%8C%80%ED%95%99%EA%B5%90+%EA%B5%AD%EA%B0%80%EC%A0%95%EC%B1%85%EC%97%B0%EA%B5%AC%EC%86%8C&rft.issn=1738-8848&rft.volume=31&rft.issue=2&rft.spage=57&rft_id=info:doi/10.17327%2Fippa.2017.31.2.003&rft.externalDocID=35281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884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884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8848&client=summon